중국이 서해 잠정조치수역(PMZ)에 설치한 구조물에 대해 어업 양식 시설로 한·중 관련 협정 위반이 아니라는 입장을 다시 밝혔다.
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1일 정례브리핑에서 서해 구조물에 대한 한국 정부의 우려에 대한 입장을 묻자 “한국 측이 객관적이고 이성적으로 접근하길 바란다”면서 이같이 답했다.
궈 대변인은 “(해당 수역은) 한국과 중국 간에 해양 권익 주장이 중첩되는 곳”이라며 “양측은 해양 경계 협상을 추진하고 있으며 중·한 어업 협정에 따라 PMZ 내에서 적극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은 해양 대화 메커니즘을 통해 한국에 관련 상황을 소개하고 소통을 유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중국은 서해 PMZ에 반잠수식 구조물인 선란1호와 선란2호를 2018년과 2024년에 각각 설치한 데 이어 추가 설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최근 중국에서 소비가 급증한 연어를 심해에서 양식하기 위한 시설이라는 게 중국측 주장이지만, 남중국해에서처럼 인공섬을 만든 뒤 영유권을 주장하려는 속셈이 아니냐는 의혹이 일고 있다.
한·중은 이번 주 서울에서 국장급 회의체인 제3차 한·중해양협력대화를 열고 관련 문제를 논의할 방침이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이날 이 구조물과 관련해 “비례 대응과 관련된 것은 해양 영토를 지킨다는 입장에서 매우 엄중하게 보고 있다”면서 “정부에서 공동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해 PMZ에 중국이 설치한 시설과 유사한 시설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대응한다는 의미다.
베이징=송세영 특파원 sysoh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