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미국의 홍콩 고위 당국자 제재에 대한 보복으로 미국 의회 의원과 관리, 비정부기구(NGO) 수장 등을 제재하기로 했다.
궈자쿤 외교부 대변인은 21일 정례 브리핑에서 미국이 최근 홍콩의 고위 당국자들을 제재한 것에 어떤 대응조치를 취할 것이냐는 질문에 “반외국제재법에 따라 홍콩 문제와 관련해 악질적 태도를 보인 미국 국회의원과 관리, 비정부기구 책임자를 제재하기로 결했다”고 밝혔다.
궈 대변인은 “미국은 중국 중앙정부의 홍콩 주재 기관과 홍콩 정부 관료 등 6명에게 불법적이고 일방적 제재를 가해 홍콩 사무와 중국 내정에 심각하게 간섭하고 국제법 원칙과 국제관계 기본 원칙을 심각하게 위반했다”며 “중국은 이처럼 비열한 행위를 강력히 규탄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홍콩은 중국의 홍콩이며 홍콩 사무에 대한 미국의 간섭은 용납할 수 없다. 미국이 홍콩 문제와 관련해 취하는 그 어떤 잘못된 행위도 중국의 단호한 반격과 상응하는 조치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궈 대변인은 제재 대상자가 누구인지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미국 국무부는 지난달 31일 홍콩의 자치권을 훼손하고 홍콩 국가보안법에 따른 체포·구금 등에 관여한 책임이 있다며 폴 램 홍콩 법무부 장관, 레이먼드 시우 홍콩 경찰청장, 중국 본토 출신인 둥징웨이 홍콩국가안보수호공서 서장 등 6명을 제재 대상자 명단에 올렸다고 밝혔다. 이들은 미국 내 모든 자산이 동결되고 미국인과 거래가 제한되며 미국 여행이 금지된다.
국무부는 이들에 대해 “해외로 도피한 19명의 친민주주의 행동가들을 위협하고 침묵하게 하고 괴롭히기 위해 ‘홍콩 국가보안법’을 역외에까지 적용했다”며 19명 중에는 미국 시민권자 1명과 미국 거주자 4명이 포함됐다고 밝혔다.
당시 중국 외교부 홍콩사무소는 “미국이 중국의 당국자들에게 억지 제재를 내렸다”면서 “홍콩의 법치·민주·자유·인권상황을 비방하는 것은 홍콩 사무와 중국 내정에 대한 무지막지한 간섭이자 미국의 패권과 횡포의 추악함을 다시 한번 드러내는 것”이라고 반발했다.
홍콩 정부 대변인도 “미국이 언급한 도피자들은 단순히 표현의 자유를 행사했다는 이유로 수배된 것이 아니라, 미국과 영국과 호주 등지에서 국가 안보를 위협하는 행위들을 대놓고 하기 때문에 체포영장이 발부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미국이 수배 중인 이들에게 보호막을 제공하고 의도적으로 무책임한 발언을 퍼뜨리면서 대중을 오도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홍콩 정부는 지난해 12월 해외에 거주 중인 홍콩 민주화운동가들에 대해 국가 안보를 해친다며 여권을 취소하고 체포영장을 발부했다.
베이징=송세영 특파원 sysoh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