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19일(현지시간) 엑스(X·옛 트위터)에 글을 올려 “우리는 모든 방향에서 실제 상황을 기록하고 있다”며 “푸틴의 부활절 성명은 쿠르스크와 벨고로드 지역까지 미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푸틴 대통령은 부활절을 맞아 기습적으로 이날 오후 6시(한국시간 20일 0시)부터 21일 0시(한국시간 21일 오전 6시)까지 30시간 적대행위 중단을 선언한 바 있다. 푸틴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에도 상응하는 행동을 요구한 상황이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그러나 “적대행위는 계속되고 러시아의 공습도 지속 중”이라며 “러시아 지도자의 묵념 약속에도 여전히 전선의 특정 방향에서는 러시아의 포성을 들을 수 있다. 러시아 드론도 사용되는 중”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일부 지역에서는 상황이 다소 잦아들었다고도 덧붙였다. 그는 “우리의 행동은 대칭적으로 이뤄지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젤렌스키 대통령은 “지금 가장 중요한 것은 누가 이 전쟁의 진정한 원인인지가 마침내 명확해졌다는 것”이라며 “푸틴이 실제 공격의 강도와 잔혹성을 줄이라고 지시한 순간 전투와 살육은 줄었다”라고 짚었다.
그는 엑스에 올린 또 다른 글에서 “러시아는 39일 동안 ‘전면·무조건 30일 휴전’에 대한 상응 제안을 내놓지 않고 있다”며 “미국이 이를 제안했고 우크라이나는 긍정적으로 반응했지만 러시아는 이를 무시했다”고 했다.
이어 “30시간은 헤드라인을 장식하기에는 충분하지만 진정한 신뢰 구축 조치에는 충분하지 않다”며 “30일이라면 평화에 기회를 줄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모스크바에서 나오는 말은 신뢰할 수가 없다”고 덧붙였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지난달 미국 중재로 ‘30일 부분 휴전’에 원칙적으로 동의했으나 러시아가 잇달아 선결 조건을 요구하면서 실질적으로 이행되지 않았다.
이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전날 기자들과 문답 중 “두 당사국(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중 한쪽이 상황을 매우 어렵게 만든다면 우리는 ‘당신은 바보다. 우리는 (더 이상의 중재 노력을) 사양하겠다’고 말할 것”이라며 경고성 발언을 하기도 했다.
박선영 기자 pom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