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전직 대통령들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 연이어 비판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소속 정당이 다르더라도 전직 대통령이 현직 대통령에 대해 비판을 자제해온 미국 정치 전통을 고려하면 이례적인 변화라는 평가가 나온다.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은 19일(현지시간) 오클라호마 테러 30주년을 추모해 열린 행사에서 “최근 몇년 간 나라가 더 양극화했다”며 “마치 모두가 누구의 분노가 더 중요하고, 누구의 분노가 더 타당한지를 논쟁하는듯하다”고 지적했다.
1995년 168명의 희생자를 낸 테러 당시 대통령이었던 클린턴은 “만약 우리의 삶이 우리와 다른 견해를 가진 사람들을 지배하려는 노력에 의해 압도된다면 더 완벽한 연방을 향한 (미국 건국 이래) 250년간의 행진을 위험에 빠트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연방 공무원 감축을 겨냥한 듯 “(테러 당시) 목숨을 잃은 사람들은 대부분 공무원이었다. 그들이 매일 했던 일은 미국 국민을 위해 일하는 것이었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때로는 자신이 틀렸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은 좋은 일”이라고 말했다.
클린턴 전 대통령은 이날 행사에 앞서 시민들을 만난 자리에서는 “나는 늙어서 더 이상 출마할 수가 없다. 나는 트럼프 대통령만큼이나 늙었다”며 농담을 하기도 했다. 트럼프의 고령을 우회적으로 지적한 것이다.
트럼프의 전임 조 바이든 전 대통령도 최근 트럼프를 향해 직설적인 비판을 쏟아냈다. 바이든 전 대통령은 지난 15일 시카고에서 열린 장애인 단체 행사 연설에서 “현 정부는 100일도 안 되는 기간에 너무나 큰 피해와 파괴를 초래했다”며 “이런 일들이 이렇게 빨리 일어날 수 있다는 게 숨 막힐 정도로 놀랍다”고 비판했다.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도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하버드대 보조금 지원 삭감 위협과 관련해 “하버드대는 학문의 자유를 억압하려는 불법적 시도를 거부하는 모범을 보였다. 다른 대학들도 따르길 바란다”는 글을 남겼다. 오바마는 지난 3일에도 해밀턴대학에서 트럼프의 대학 보조금 중단 위협을 거론하며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우리 모두에게 달려 있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그에 대해 비판을 하지 않은 전직 대통령은 공화당 소식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이 유일하다. 세 명의 전직 대통령이 현직 대통령 임기가 100일을 채우기도 전에 한목소리로 후임 대통령을 비판하는 것은 전례를 찾기 어렵다.
워싱턴포스트는 “오바마와 바이든, 클린턴 세 명 모두 트럼프의 이름을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그 메시지는 분명했다”며 “이 세 명의 민주당 대통령은 미국 민주주의가 평상시와 다른 상황에 처해 있으며 기존의 규범이 무시되고 있어 특별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점을 알렸다”고 평가했다.
워싱턴=임성수 특파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