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영수 전남도의원(사진, 더불어민주당·강진)이 전남도 환경산림국 소관 제1회 추가경정 예산안 심사에서 “수소차 보급사업의 집행 속도가 심각하게 뒤처지고 있다”며 보급 실적 제고와 충전 인프라 확충을 위한 실효성 있는 대응을 촉구했다.
18일 전남도의회에 따르면 수소차는 무공해 차량으로서 미래 친환경 모빌리티의 핵심 축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정부는 2030년까지 수소차 30만대 보급, 충전소 660기 설치를 목표로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충전소 부족 문제는 여전히 전국적인 과제로 남아 있으며, 특히 비수도권과 농어촌 지역에서는 차량 보급에 비해 충전 인프라 구축이 현저히 뒤처져 있는 실정이다.
전남도는 올해 411억원을 투입해 승용차 760대, 저상버스 61대, 고상버스 44대 등 총 865대의 수소차 보급을 계획하고 있다.
하지만 올해 1분기까지 실제 보급된 수소차는 승용차 16대, 저상버스 3대 등 총 19대에 불과한 실정이다. 집행률은 2%를 겨우 넘기는 수준을 보여, 연내 보급 목표 달성이 사실상 불가능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날 열린 심사에서 차 의원은 “수소차 보급을 위한 예산은 대폭 확대됐지만, 실제 보급 속도는 지나치게 느려 사업의 실효성이 의심받고 있다”며 “단순히 예산만 책정할 것이 아니라 현장에서 실질적인 공급이 이뤄질 수 있도록 추진력을 높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충전 인프라가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도민들이 수소차 구매를 주저할 수밖에 없다”며 “차량 보급과 충전 인프라 확대는 함께 움직여야 하는 과제로, 전남은 충전소 구축 계획과 보급 실적을 연계한 실행 전략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박종필 전남도 환경산림국장은 “수소차 보급이 지연되고 있는 점은 인식하고 있다”며 “사업 추진 과정에서 도민들의 불편이 없도록 충전소 확충과 함께 보급 실적을 높일 수 있도록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무안=김영균 기자 ykk22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