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이 인도네시아에서 진행하던 14조원 규모 니켈 기반 이차전지 밸류체인 프로젝트가 무산됐다. LG엔솔과 동시에 인니 파트너로 선정됐던 중국의 CATL 컨소시엄은 관련 사업을 지속한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LG컨소시엄은 인니 정부와 함께 배터리 밸류체인 구축을 목표로 추진했던 ‘인니 GP 프로젝트’를 전면 중단했다. 최대 98억 달러(약 14조원) 규모로 추진했던 프로젝트로, 컨소시엄에는 LG에너지솔루션·LG화학·LX인터내셔널·포스코홀딩스 등 국내 대기업과 중국 업체 화유가 포함돼있었다.
LG엔솔은 “시장 상황 및 투자 여건이 급변해 인도네시아 정부와 협의를 거쳐 프로젝트를 최종 철회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LG엔솔이 인도네시아에 투자를 결정한 이유는 당시 이차전지 원재료 가격이 연일 상승하는 상황에 있었다. 니켈의 매장량과 채굴량 모두 세계 1위인 인도네시아에서 원료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자 한 것이다. 인도네시아 정부 역시 전기차 전환에 따른 이차전지 수요의 급속한 증가를 예상하고 적극적으로 나섰다. 광물 채굴부터 제·정련, 전구체·양극재·셀 생산에 이르는 밸류체인 구축하고자 한 것이다. 그 결과 지난 2022년 니켈 밸류체인 프로젝트 파트너로 CATL 컨소시엄과 LG컨소시엄을 각각 선정했다.
LG컨소시엄은 광산 인수에 나섰던 LX인터내셔널과 중국의 화유코발트, 배터리 소재 업체 LG화학·포스코퓨처엠 등으로 구성됐었다. 지난 2월까지만 해도 인도네시아의 국영 배터리 기업 IBC가 LG와의 협력이 타당성 조사 단계에 있다고 밝히는 등 프로젝트가 계속됐지만, 최종 무산됐다. CATL은 인니 정부와 니켈 프로젝트를 계속 추진한다.
다만 LG엔솔 측은 이번 프로젝트 철수가 인니 내 배터리 사업 철수는 아니라는 입장이다. LG엔솔 관계자는 “현대차와의 합작법인인 HLI 그린파워를 중심으로 인니 내 사업은 지속할 계획”이라며 “인니 정부와도 다양한 중장기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준식 기자 semipr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