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중국산 선박을 운영하는 해운사 등에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발표하며 한국 조선업이 수혜를 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공격적인 저가 수주를 통해 글로벌 점유율을 높여왔던 중국 업체들의 가격 경쟁력 상실이 불가피해졌기 때문이다.
미국무역대표부(USTR)는 17일(현지시간) 중국 해운사, 중국산 선박을 운영하는 해운사, 외국에서 건조한 자동차 운반선 등에 미국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USTR이 밝힌 계획서에 따르면 수수료는 오는 10월 14일부터 단계적으로 부과되며 매년 인상된다.
구체적으로는 중국 기업이 운영하거나 소유한 선박은 t당 50달러(약 7만1000원)의 수수료를 지불해야 한다. 수수료는 2028년까지 t당 140달러로 오른다. 중국 건조 선박을 운항하는 비중국 국적 운항사는 t당 18달러 또는 컨테이너당 120달러의 수수료를 내야 한다. 이 수수료 역시 2028년까지 매년 오른다.
그동안 공격적인 저가 수주를 통해 글로벌 점유율을 높여온 중국 조선업은 타격이 불가피해졌다. 글로벌 해운사가 중국 선박을 이용할 경우 수수료를 고스란히 부담해야 하기 때문이다. 외교부 경제안보외교센터 보고서는 USTR 수수료 초안을 기준으로는 해운사들이 조 단위의 수수료를 지불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중국은 지난해 4645만CGT(표준선 환산톤수·1711척)를 수주해 전 세계 수주량의 71%를 차지했다. 한국은 고부가가치 선박 수주에 집중하며 17%인 198만CGT(250척)를 수주했다.
올 초부터 트럼프 행정부가 지속적으로 입항수수료 등 제재 의사를 보이며 선사들은 이미 중국 조선업체와의 계약을 재검토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지난달 미국 에너지 메이저 기업인 엑슨모빌은 중국 조선소에서 건조 예정이었던 액화천연가스벙커린선(LNGBV) 신조 계약을 보류하기로 했다. 엑슨모빌은 지난달 2만 큐빅미터급 LNGBV 2척을 건조할 슬롯을 중국 조선소를 통해 확보하기까지 했으나 보류했다.
트레이드윈즈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중국 조선업체들에 대한 벌크선 주문량은 13건으로 1993년 이후 32년 만에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같은 기간 143건 대비 90.9% 감소한 수준이다. 트레이드윈즈는 미국 USTR의 수수료 부과 계획이 중국의 벌크선 수주 감소에 영향을 끼쳤다고 분석했다.
다만 계속되는 글로벌 무역 전쟁이 전 세계 해운 물동량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점은 조선사들에게 부정적 요인이다. 전 세계 선사들이 물동량 감소를 예상하고 발주를 줄이면 그대로 조선사들의 수익성이 줄어들 수 있다.
당장 이번 입항 수수료 부과가 바로 미국 내 해상 물동량에 타격을 줄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컨테이너를 통해 운송되는 중간재 및 최종재의 운송 비용 증가가 미국내 소비자 수요에 타격을 줄 것이라고 분석했다. 수요 감소는 미국 내 해상 물동량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윤준식 기자 semipr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