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영남산불 피해 면적 10만4000㏊”…비화·강풍 피해 키워

입력 2025-04-18 11:14
산불진화 및 피해조사, 복구 추진 절차. 산림청 제공

지난달 경북·경남·울산 산불에 따른 산림 피해 면적이 10만4000㏊에 달하는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최종 피해 면적은 추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확정될 예정이다.

18일 산림청에 따르면 이번 산림 피해 면적은 지자체가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8일까지 1차 조사를, 9~15일에는 중앙재난피해합동조사단과 지자체가 함께 2차 현장조사를 실시해 확인했다.

영남산불은 비화 등을 통한 산불의 빠른 확산, 산불 진화 이후 열로 인한 추가 고사 등의 요인으로 피해면적이 증가했다고 한다.

지역별 잠정 산림 피해 면적은 경북 9만9289㏊(의성 2만8853㏊, 안동 2만6709㏊, 청송 2만655㏊, 영양 6864㏊, 영덕 1만6208㏊), 경남 3397㏊(산청 2403㏊, 하동 994㏊), 울산(울주) 1190㏊ 등이다.

산불진화 완료 당시 도출된 ‘산불영향구역’은 현재 확인된 피해 면적의 절반도 되지 않는 4만8000㏊였는데, 이는 현장조사에서 파악된 ‘산불피해면적’과 활용 목적과 산정 방식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고 산림청은 설명했다.

산불영향구역은 산불진화 전략 수립을 위해 헬기·드론영상 및 지상관측 등에서 얻은 화선 경계를 표시한 구역이고, 산불피해면적은 산불 피해복구를 목표로 실제 현장조사를 통해 확인한 산불피해가 발생한 산림 면적이다.

특히 이번 산불은 순간 최대 풍속이 초속 27m 이상의 태풍급 강풍이 불었던 것에 영향을 받아 각 수치가 다소 차이가 났다. 불이 빠르게 지나가면서 산불이 꺼진 지역의 화선이 존재하지 않아 산불영향구역에 포함되지 않았고, 강풍·연무 등으로 화선 관측장비 운영에 어려움이 있었다는 것이다.

산림청은 향후 초고속·초대형 산불에 대비해 강풍이나 연무 상황에서도 화선 관측이 가능한 고정익 항공기, 중·고고도 드론, 위성 영상 등의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관계 부처와 협의하겠다는 계획이다.

현재 산사태·토사유출 등으로 2차 피해가 우려되는 집중조사 지역 4207곳은 긴급진단을 마치고 응급복구를 진행 중이다. 생활권과 주요시설물 주변의 산불피해목은 빠르게 제거하고 피해 정도에 따라 자연복원·생태복원·조림복원 등 다양한 복원방법을 적용키로 했다.

또 산불 피해주민과 산주, 전문가가 함께 참여하는 중앙·지역 단위의 ‘산불피해지 복원추진 협의회’를 운영하면서 산불피해지 복구 및 복원 기본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박은식 산림청 산림산업정책국장은 “산불 규모가 큰 만큼 피해지의 응급복구가 시급하다”며 “산주와 임업인, 지역주민의 조속한 피해 회복과 일상으로의 복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