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산불 피해 1조1306억원으로 잠정 집계…“늘어날 것”

입력 2025-04-17 15:10
지난 달 26일 경북 안동시 남선농공단지 인근 야산이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로 불타고 있다. 권현구 기자


지난달 22일 의성에서 발생해 경북 5개 시·군을 초토화시킨 ‘경북 산불’에 따른 피해 금액이 1조1306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17일 경북도에 따르면 지난달 22일부터 28일까지 의성, 안동, 청송, 영양, 영덕 등 5개 시·군에게 피해를 준 대형 산불로 사유 시설 590억원, 공공시설 6216억원이 피해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당국은 17일까지 시설 피해를 추가 확인할 계획이어서 피해 규모는 늘어날 가능성이 매우 크다.

공공 피해 가운에 산림이 5831억원으로 94%를 차지했다.

주택 피해는 전소 3618채, 반소 386채, 부분소 454채 등 모두 4458채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안동이 1737채로 가장 많고 영덕 1424채, 청송 770채, 의성 390채, 영양 137채다.

국가 유산 피해는 사찰 5곳, 불상 4점, 누정 2곳, 가옥 15곳, 기타 5곳 등 모두 31곳이다.

농축업 분야 피해는 농작물 2062㏊, 시설하우스 1397동, 축사 485동, 농기계 1만4544대 등이다.

수산 분야 피해는 어선 29척, 어망 35건, 양식장 5곳(29억원), 양식어류 47만 마리(30억원), 가공업체 3곳의 공장과 창고 16개 동(35억원), 어가 26곳 저장시설이나 건조기 등이 있다.

중소기업 91곳과 소상공인 사업장 966곳도 피해를 봤으며 안동 남후농공단지는 43곳 중 28곳, 영덕 제2농공단지는 8곳 중 3곳이 각각 피해를 입었다.

천문학적 피해 규모에도 불구하고 이재민 지원 등은 지지부진한 실정이다.

도는 이번 산불로 인한 이재민 수를 2128가구, 3509명으로 집계했다.

이들 중 79명은 체육관이나 학교 등 대피시설에, 나머지는 임시주거시설에 머물고 있다.

도는 이재민들에게 임시 조립주택을 공급하기 위해 입주 수요를 파악한 결과 2488곳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지만 현재 임시주택이 설치된 곳은 16곳에 불과하다. 나머지 2472곳은 부지 선정이나 기반 시설 조성, 발주 단계에 머물고 있다.

임시조립주택보다 규모가 큰 모듈러주택 수요는 211곳이지만, 이 가운데 현재까지 설치된 곳은 18곳에 그친다.

경북도 관계자는 “피해 수습 종료 때까지 중앙합동지원센터와 원스톱 행정지원팀을 운영하면서 피해지원을 총괄한다”고 말했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