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슬럼화를 막고 주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빈집을 공유재산으로 매입해 외국인 유학생 기숙사와 운동 기구를 갖춘 체육공원으로 조성하는 첫 사업에 나선다.
부산시는 지난 15일 민관협의체 평가를 거쳐 ‘빈집 매입 및 생활 사회기반시설(SOC) 조성 사업’ 대상지 4곳을 최종 선정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지난해 11월 시가 발표한 ‘빈집 정비 혁신 대책’을 바탕으로 한 실행 계획이다. 기반 시설이 부족한 노후 빈집을 매입해 주민 생활에 필요한 사회기반시설로 탈바꿈시켜 주거 환경을 정비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 목표다. 시비 9억8000만원, 구비 4억2000만원 등 총사업비 14억원이 투입된다.
시는 지난달 16개 구·군을 대상으로 공모를 진행해 7개 구에서 접수된 10곳 가운데 영도구와 동구의 빈집 4곳을 선정했다. 이번 사업은 두 가지 유형으로 추진된다. 먼저 영도구는 동삼동과 청학동에 있는 빈집 2채를 매입해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기숙사로 활용할 계획이다. 시와 영도구, 한국해양대학교가 협력해 후보지를 발굴했으며, 향후 임대 사업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동구는 수정동에 있는 빈집 2채를 철거하고, 운동 기구를 갖춘 소규모 체육공원을 조성한다. 이 지역은 건물 붕괴 위험과 범죄 우려가 큰 곳으로, 주민 요구를 반영해 안전하고 건강한 공간으로 탈바꿈시킬 예정이다.
이번 평가를 주관한 민관협의체는 빈집 문제 관련 분야 전문가 9명으로 구성됐으며 지난 2월 발족했다. 우신구 부산시 총괄건축가가 협의체장을 맡았으며, 이섬결 한국부동산원 과장, 신병윤 동의대학교 교수 등이 참여하고 있다. 협의체는 앞으로 빈집 정비사업 평가와 정책 제언 등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이번 사업은 시가 빈집을 처음으로 공유 재산화해 기반 시설을 조성하는 모델로, 단순한 매입을 넘어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주거 환경 개선의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빈집 매도 수요를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예산도 추가로 확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