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로 물가 오르고 성장 둔화” 트럼프 직격한 연준 의장

입력 2025-04-17 09:00 수정 2025-04-17 10:15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EPA 연합뉴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16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과도한 관세 부가로 물가가 인상되고 성장이 둔화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직언했다.

파월은 이날 미국 일리노이주의 시카고 이코노믹 클럽에서 한 연설에서 “관세는 최소한 일시적으로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의 증가를 유발할 가능성이 크다. 지금까지 (정부가) 발표한 관세 인상 수준이 예상보다 훨씬 높다.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마찬가지일 가능성이 크며 이는 인플레 상승과 성장 둔화를 포함할 것이다. 우리는 (최대 고용과 물가 안정이라는) 양대 목표가 (서로) 긴장 상태에 놓이는 도전적 시나리오에 직면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연준은 최대 고용을 유지하면서 물가 상승률을 2% 수준으로 낮추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경제 성장을 촉진해 고용을 늘릴 필요가 있을 때 기준금리를 인하하고 물가를 잡아야 할 때는 금리를 인상한다. 일반적으로 경제가 둔화하면 물가가 내려가고 실업률이 올라가기 때문에 금리를 인하하면 두 목표를 다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관세는 이처럼 역(reverse) 관계에 있던 실업률과 물가를 동시에 끌어올릴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파월의 생각이다.

파월은 “우리의 도구(기준금리 조정)는 같은 시점에 두 개(최대 고용과 물가 안정) 중 하나만 할 수 있다. (과도한 관세 부과는) 아마 올해 내내 우리를 목표 달성에서 더 멀어지게 할 가능성이 크다”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금리 인하 등 통화 정책을 당장 시행하지는 않고 경제 상황을 더 관망하겠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는 “현재 우리는 정책 입장에 대한 어떤 조정을 고려하기 전에 더 많은 명확성을 기다리기에 좋은 위치에 있다”라고 말했다.

다만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그리 멀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연준은 관세로 경제 부담이 커지는 현 상황에서도 지난달 19일 금리를 동결했는데 시장에서는 연말까지 0.25% 포인트씩 서너 차례 인하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김진욱 기자 real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