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공정책개발연구원, 아동권리보장원과 저출산 극복 나선다

입력 2025-04-15 18:16
장헌일(왼쪽) 한국공공정책개발연구원장과 정익중 아동권리보장원장이 15일 서울 중구 세종대로의 아동권리보장원 국제회의실에서 함께 맺은 업무협약서를 들고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한국공공정책개발연구원 제공

한국공공정책개발연구원(원장 장헌일 목사)이 아동권리보장원(원장 정익중)과 함께 초저출생 문제 극복을 위해 아이 돌봄 사역에 동역하기로 했다.

한국공공정책개발연구원은 15일 서울 중구 세종대로의 아동권리보장원 국제회의실에서 아동권리보장원과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이날 밝혔다.

한국공공정책개발연구원에 따르면 두 기관은 종교시설을 활용한 아동 돌봄 사업에 협력하고, 보호 대상 아동의 가정형 보호를 위한 종교계 협력사업을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또 아동보호와 아동돌봄 관련 정책을 개발하고 프로젝트를 발굴하는 일에도 함께 나서기로 협약을 맺었다.

최근 정부는 초저출생 극복과 아동 돌봄 기반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의 하나로, 종교시설과 노유자시설 간의 복수 용도를 허용할 경우 지방건축위원회의 심의를 생략할 수 있도록 건축법 시행규칙을 개정했다. 아동 돌봄시설 설치를 위한 행정 절차가 간소화되면서, 종교계와 지역사회의 유휴시설 활용이 더욱 원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 이러한 제도적 변화는 아동 돌봄의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평가된다.

한국공공정책개발연구원과 아동권리보장원은 이번 협약을 통해 해당 정책 추진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종교계와의 지속적인 협력 모델을 구축해 돌봄서비스의 지역 확산을 도모할 계획이다.

장헌일 원장은 “초저출산 국가위기 극복을 위해 종교계가 아동 돌봄에 앞장서 아동들이 행복한 아동 친화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며 “아동 돌봄 사각지대가 없도록 정책협력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정익중 원장은 “아동이 건강하게 자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가정과 같은 안정적이고 따뜻한 보호 환경이 필요하다”며 “보호 대상 아동이 시설이 아닌 가정형 보호를 통해 성장할 수 있도록, 종교계와 민간, 공공이 함께 뜻을 모았다는 데에 큰 의미가 있다”고 전했다.

임보혁 기자 bosse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