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협상을 이끄는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이 다음 주 한국과 무역 협상을 예고하면서 “미국과 먼저 합의하는 국가가 더 유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베선트는 14일(현지시간) 미국 경제방송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지난주에는 베트남, 수요일(16일)에는 일본, 다음 주에는 한국과 협상이 있다. (협상은) 빠르게 진행될 것이다. 먼저 움직이는 사람의 이점(First mover advantage)이 있을 것이다. 보통 가장 먼저 협상을 타결하는 사람이 최고의 합의를 하게 된다”라고 말했다. ‘어느 국가가 미국과 가장 먼저 협상을 타결할 것으로 예상하냐’라는 질문에 그는 “그들의 선택”이라고 답했다.
베선트는 ‘상호관세 90일 유예가 끝나기 전에 협상을 타결할 국가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냐’는 질문에 “많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실제 무역 (협정) 문서가 아닐 수 있지만 우리는 원칙적 합의(agreement in principle)를 할 것이다. 거기서부터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통적 무역 협정을 체결하기에 시간이 촉박해 다른 나라의 무역수지 개선과 무역장벽 완화 약속을 담은 간소한 합의를 할 것이라는 관측에 동의한 것으로 풀이된다.
베선트는 ‘협상을 통해 상호관세를 완전히 없앨 수 있냐’라는 질문에 “난 상대국들에 당신의 최선의 제안(A game)을 가져오라고 말한다. 뭘 들고 왔는지 보고 거기서 (협상을) 시작하겠다. 우리는 가장 중요한 교역 파트너국 다수와 신속하게 움직이고 있다. 궁극적으로 가장 중요한 교역 파트너국과의 협상에는 트럼프가 직접 참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미국 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은 이날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 정부가 한국과 영국, 호주, 인도, 일본과 협상을 우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베선트는 자신의 최우선 목표(top targets)에 이들 5개국이 포함됐으며 자신이 각 국가의 당국자들을 접촉해왔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9일 자신이 무역 협상을 이끌 것이라고 밝힌 뒤 전면에 나서고 있다.
김진욱 기자 real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