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교육청이 올해 저소득층 학생의 교육활동지원비를 전년 대비 5% 인상한다.
시교육청은 9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5년 주요 교육복지 정책을 발표했다.
먼저 기초생활보장수급권자의 교육활동지원비를 전년 대비 평균 5% 인상해 초등학생 48만7000원, 중학생 67만9000원, 고교생 76만8000원을 지원한다.
무상교육 대상학교가 아닌 자사고 등에 재학 중인 수급자에게는 입학금과 수업료, 정규 교과서비를 전액 지원한다.
중위소득 80% 이하 학생의 방과후학교 자유수강권은 초등학생 연 72만원, 중·고교생 연 60만원까지 지원하며 현장체험학습비는 초등학생 20만원, 중학생 30만원, 고교생 55만원 한도로 제공한다. 졸업앨범비와 고등학교 석식비는 실비로, 인터넷 통신비는 연 21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결식 우려가 있는 학생은 학기 중 토·일·공휴일 점심 제공 예산을 지원한다. 지난해 9000원이었던 지원 단가는 9500원으로 올렸다.
저소득층 학생이 많은 초·중·고 61개교에는 교육복지 전문 인력인 교육복지사를 배치하기로 했다. 또 ‘희망교실’ 사제 멘토링 프로그램은 지난해 532개 교실에서 649개로 확대한다.
긴급 위기학생을 지원하기 위한 ‘꿈이룸 사제 행복동행’ 프로그램도 계속 실시한다. 이 사업은 보호자의 사망·실직, 재해·재난 등 긴급 위기에 처한 학생에게 교직원들이 모금한 재원으로 생계비와 교육비, 의료비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실제로 시교육청은 보호자의 질병·실직 등으로 공과금과 주거비를 내지 못한 학생에게 생계비를, 화재로 집이 전소돼 교과서·교재의 재구입이 필요한 학생에게는 생계비와 교육비를 각각 지원했다. 갑작스러운 질환으로 고액암 수술이 필요한 학생에게도 의료비를 제공했다.
정인기 시교육청 기획국장은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학생들이 교육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