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지사는 이날 오전 미국 방문길에 인천공항 출국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대통령 선거는 대한민국이 과거로 돌아갈 것이냐, 미래로 나아갈 것이냐를 결정하는 선거가 될 것”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지난 7일 김두관 전 국회의원에 이어 더불어민주당 비명(비이재명)계 대선주자로서는 두 번째 출마 선언이다.
김 지사는 “1998년 외환위기, 2008년 금융위기, 2017년 탄핵 후 첫 경제부총리, 저에겐 경제위기 때마다 해결한 경험과 노하우가 있다”며 “30년 넘게 쌓은 국제무대에서의 경험과 네트워크가 있다”고 말했다. 다른 경쟁자들보다 경제 측면에서 비교우위를 지녔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김 지사는 4년 중임 분권형 대통령제를 비롯해 총선과 선거 주기를 맞추기 위한 대통령 임기 3년으로 단축, 기획재정부·검찰 해체 수준 개편, 전관 카르텔 혁파 등 ‘기득권 개혁’과 10개 대기업 도시 조성, 기후산업 400조원 투자, 감세중단과 국가채무비율 조정으로 200조원 재정 마련 등 ‘경제 대연정’을 공약했다.
그는 또 무책임한 감세 남발 등 포퓰리즘 정책을 하지 않겠다고 공언했다.
김 지사는 “저는 계파도 조직도 없다. 나라를 걱정하는 국민이 저의 계파고, 경제를 걱정하는 국민이 저의 조직”이라며 ‘3무(네거티브·매머드 선대위·조직 동원) 3유(비전과 정책 중심·단기필마 자세· 국민과 함께하는 젊은 선거)’ 선거운동으로 바람을 일으키겠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일단 도지사 직은 유지하면서 경선을 치른다.
대통령 탄핵으로 보궐선거(조기 대선)가 치러질 경우 광역단체장이 대선에 출마하려면 선거일 기준 30일 전에만 사퇴하면 되기 때문에 당내 경선 과정에서는 일단 지사직을 유지한다는 입장이다.
김 지사는 미국 출장과 관련해 “트럼프발 관세전쟁이 본격화된 상황에서 당장 직격탄을 맞을 곳이 바로 우리 자동차 산업”이라며 “이대로 두고만 볼 수 없어 2박4일 일정으로 미국 빅3 완성차 기업 본사가 위치한 미국 미시간을 방문한다”고 설명했다.
김 지사는 이어 “2박4일은 우리 경제를 살릴, 우리 국민들의 피 같은 시간”이라며 “미시간에서 그레첸 휘트머 주지사와 만나 민-관 국경을 뛰어넘는 관세 대응 공동 전략을 마련하고 오겠다”고 덧붙였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