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긴급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해 내수 부진과 소비 위축으로 어려움을 겪는 지역 상인을 위한 대규모 지원에 나선다.
부산시는 총 4688억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해 ‘민생경제 활력 더하기’ 사업을 새롭게 추진한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자금 지원, 소비 활성화, 동백전 캐시백 확대, 경영 개선, 고용 전환, 전통시장 활성화 등 14개 세부 사업으로 구성돼 있다.
우선 소상공인에게 최대 500만원까지 운영자금을 지원하는 ‘소상공인 3무(無) 희망잇기 카드 지원사업’을 신설한다. 이자, 보증료, 연회비 없이 4만명에게 2000억원을 지원하고, 이차보전 확대를 통해 2325억원 규모의 자금도 추가 투입된다. 부산신용보증재단 출연도 늘려 보증 지원을 강화한다.
지역 소비를 촉진하기 위한 행사도 마련된다. 골목상권과 온라인 입점 소상공인을 위한 ‘부산세일페스타’, 전통시장별 특성을 반영한 판매 촉진 행사, 온누리상품권 환급 사업 등이 포함된다. 특히 전통시장에서 5만원 이상 구매하면 온누리상품권 1만원을 돌려주는 소비 진작 정책도 새롭게 시행된다.
지역화폐인 동백전의 혜택도 커진다. 캐시백 월 한도는 기존 30만원에서 50만원으로 확대되고, 캐시백율은 연 매출 10억원 이하 가맹점의 경우 최대 7%까지 늘어난다. 정책은 올해 6월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된다.
경영 위기에 처한 소상공인 200개 업체를 대상으로는 업체당 상담과 자금, 금융 지원이 결합한 ‘경영개선 토탈패키지’가 제공된다. 폐업 소상공인에게는 재취업을 위한 직업훈련 수당을 기존 30만원에서 60만원으로 확대 지급하고, 고용한 사업주에게는 인센티브를 지원해 재취업을 유도한다.
전통시장에는 디지털 전환과 문화관광형 시장 육성 예산이 투입된다. 충무동 새벽시장, 민락골목시장, 남천해변시장 등이 대상이다. 이와 함께 영도구에는 커피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연구·개발(R&D) 클러스터 조성 사업이 새로 도입된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이번 대책은 침체한 지역경제에 숨통을 틔우기 위한 민생 중심 정책”이라며 “상반기 내 예산을 신속히 투입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내겠다”고 밝혔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