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중국을 향해 최고 104%의 관세 부과를 위협하며 관세 전쟁 수위를 끌어올렸다.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에 대해 중국이 보복 관세를 언급하자 추가로 50%의 관세를 거론한 것이다. 트럼프는 9일 예고된 상호관세는 유예 없이 진행될 것이라면서도 중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와는 협상 여지를 뒀다. 일본이 첫 협상 대상국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는 이날 트루스소셜에 중국이 미국의 상호관세에 맞서 같은 34%의 대미 보복관세를 예고한 데 대해 “8일까지 중국이 34% 관세를 철회하지 않으면 미국은 중국에 5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이다. 그것은 9일부터 발효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는 중국에 이미 20%의 기존 관세에 더해 34%의 상호관세까지 부과한 바 있다. 여기어 더해 50%까지 관세가 추가되면 미국의 대중국 관세는 104%가 된다.
트럼프는 중국이 요구를 수용하지 않을 경우 “미국과의 모든 대화는 취소될 것”이라며 “미국과의 회담을 요구한 다른 나라들과의 협상은 즉시 시작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와는 관세 문제를 협상할 수 있다는 여지를 남긴 것으로 해석된다.
트럼프가 지난 2일 ‘미국 해방의 날’이라며 발표한 상호관세는 지난 5일부터 10%의 기본관세가 발효됐다. 9일부터는 각국별로 상호관세(기본관세 포함)가 발효된다. 한국은 25%, 중국은 34%, 일본은 24% 등으로 차등 적용됐다.
트럼프는 일각에서 제기되는 상호관세 유예설에 대해서는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강조했다. 트럼프는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를 만난 자리에서 이렇게 말하며 “많은 나라가 우리와 협상하기 위해 오고 있다. 그것은 공정한 계약이 될 것이며 많은 경우에 그들은 상당한 관세를 낼 것”이라고 밝혔다. 네타냐후 총리도 “그것(미국의 무역적자)을 빨리 해결하고 싶다. 그것은 옳은 일”이라며 “우리도 무역 장벽을 제거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는 그러면서 중국을 향해 다시 50%의 추가 관세를 거론했다. 그는 “나는 시진핑 주석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면서도 “나는 중국을 매우 존경하지만 이런 식으로는 안 된다” 고 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본질적으로 폐쇄된 국가이며 그들이 하는 일은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는 “우리는 무역 분야에서 판을 다시 짤 마지막 기회”라며 “우리를 이용했던 많은 국가는 이제 ‘제발 협상해달라’고 한다. 그들은 심하게 타격을 받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트럼프는 관세가 영구적이라고 말한 뒤 협상을 하는 것이 모순적이라는 지적에 대해서는 “그것은 둘 다 사실일 수 있다”며 “관세는 영구적일 수 있으며 그것은 협상이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참모들 사이에서도 관세에 대한 견해가 충돌한다.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이날 소셜미디어에 트럼프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통화한 사실을 알리며 “일본과 협상을 개시할 것”이라고 올렸다. 미국이 상호관세를 발표한 뒤, 무역 상대국과 협상을 명시적으로 밝힌 것은 일본이 처음이다. 하지만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선임고문은 이날 파이낸셜타임스 기고문에서 “이것은 협상이 아니다”며 “수십년 간 속임수를 쓰다가 갑자기 관세를 낮추겠다고 제안하는 세계 지도자들은 이것이 시작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아두라”고 썼다.
트럼프가 상호관세 강행 의지를 밝힌 가운데 뉴욕 증시는 이날 급등락을 되풀이하며 역대급 롤러코스터를 탔다.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91%, S&P500 지수는 0.23% 하락했다. 반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10% 상승했다.
워싱턴=임성수 특파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