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개헌에 동참”… 당내 대선 주자들도 잇달아 ‘개헌’ 목소리

입력 2025-04-06 19:46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왼쪽)와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 연합뉴스

대통령 선거일에 개헌 국민투표를 동시에 시행하자는 우원식 국회의장의 제안에 대해 국민의힘은 지지 의사를 밝히며 동참하겠다는 뜻을 강조했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6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개헌에 동참하고 (우 의장이 제안한) 국회 개헌특위를 구성하는 데 우리 당 인원은 원내대표가 추천할 것”이라며 “그 뒤에 논의되는 부분은 당 개헌특위에서 안을 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당내 대선 주자들도 개헌 필요성을 주장했다. 한동훈 전 대표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차기 대통령 임기를 3년으로 단축하자는 입장을 거듭 강조하면서 “대통령과 국회의원 임기의 시작과 끝을 맞추기 위한 목적 외에 개헌의 실현 가능성을 크게 높이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 전 대표는 “이재명 민주당은 개헌을 반대하는 호헌세력이지만, 만약 임기 단축 약속을 지킬 국민의힘 후보가 대통령이 되면 3년 만에 다시 선거를 할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 개헌에 동의할 가능성이 크다”며 “오직 국민을 먼저 생각한다면 개헌은 반드시 해내야 하고 그것을 위해 난 3년 임기 단축을 약속하고 지킬 것”이라고 전했다.

안철수 의원은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 의장의 제안과 관련한 질문에 “나는 내년에 개헌을 위한 투표를 지방선거와 함께 치르자고 말씀드렸다”며 “87년 체제에서 미흡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반드시 내년에 개헌해야만 하고, 우리 당 경선 후보들과 최종 본선에 갈 후보도 전부 개헌에 대해 공약으로 내세워야 한다”고 답했다.

당 개헌특위 위원인 최형두 의원도 페이스북에서 “앞으로 두 달 후 국민의 시간이 온다. 그 사이에 국회는 이제 87년 앙시앵 레짐을 끝내야 한다. 나중에 하자는 말은 하지 말자는 뜻”이라며 개헌 논의를 지지했다.

당 개헌특위는 그간 세 차례 회의를 열어 대통령 권한 분산을 위한 분권형 대통령제의 구체적인 방법으로 ‘대통령 4년 중임제’ 원포인트 개헌을 추진하자는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또 국회의 권한 남용을 막기 위한 방안으로 의회 해산권, 양원제 등을 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논의를 이어왔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