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청양·부여 주민들과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지천댐 지역협의체가 댐 건설과 관련해 ‘기본구상’ 단계를 우선 추진하자는 의견을 냈다.
충남도는 지천댐 지역협의체가 전날 도청 소회의실에서 2차 회의를 개최했다고 4일 밝혔다.
일반적으로 댐 건설 사업은 하천유역수자원관리계획 수립, 기본구상, 예비 타당성 조사, 타당성 조사, 전략 환경 영향 평가, 댐 건설 기본계획 수립 및 고시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협의체가 먼저 실시하자고 의견을 모은 기본구상 단계는 댐의 필요성과 위치·규모 등을 검증하는 단계로 보통 4~5개월이 소요된다.
위원들은 이날 회의에서 기본구상이 진행돼도 댐 건설이 확정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기본구상을 추진한 뒤 찬반 의견을 수렴하자고 제안했다. 지천댐의 필요성·규모 등 구체적인 내용이 없어 갈등이 확대 재생산 되는 만큼 기본구상이 우선 필요하다는 것이다.
위원회는 또 기본구상 용역 보고서를 주민들이 알기 쉽게 작성해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청양군은 상수원 보호구역 지정 우려, 타 법률에 의한 규제 및 행정 제재 우려, 안개 발생 피해 우려, 농축산업 기반 상실 해소 발전 대책, 대청댐·지천댐 동시 방류 시 지천 제방 붕괴 대책, 녹조 발생 및 생태계 파괴 해소 대책, 정부 차원의 약속 이행 방안 등 댐 건설에 따른 우려 해소와 요청 7개 사항에 대한 환경부의 자세한 답을 요청했다.
위원들의 의견에 따라 박철곤(한양대 갈등문제연구소장) 위원장은 환경부가 추진하는 기본구상 연구용역에 지천댐이 반영되도록 도가 환경부에 요청하고, 기본구상 과정을 주민들에게 상세히 공유할 것을 주문했다.
홍성=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