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계는 4일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선고하자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존중한다”면서 국론 분열을 해소하고 경제 활력 제고에 힘을 모아야 할 때라는 입장을 밝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이날 논평을 내고 “엄중한 경제 상황을 고려할 때 이제는 사회적 대립과 갈등을 넘어 국정이 조속히 정상화되고 경제 회복과 민생 안정을 위한 노력이 지속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대한상의는 “현재 우리 경제는 내수 침체와 주력 산업의 경쟁력 약화, 미국 관세 조치 및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 대내외적으로 복합적인 도전에 직면해 있다”며 “경제계는 우리 경제의 지속 성장을 위해 모든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경제인협회는 “이번 결정을 계기로 국론 분열을 해소하고 대한민국이 직면한 위기의 극복을 위해 전 국민이 하나로 뭉치기를 희망한다”며 “경제계도 한국 경제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적극적인 투자와 고용 등 본연의 역할 수행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글로벌 산업 대전환의 흐름 속에서 우리 경제는 통상 환경 악화, 주력산업 부진, 내수 침체 등 복합 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경기 회복과 민생 경제 활력 제고에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도 논평에서 “국민 모두 헌재의 결정을 겸허히 수용함으로써 그동안 탄핵정국으로 야기된 극심한 정치·사회적 대립과 갈등을 종식하고 사회 통합과 안정에 역량을 집중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하는 등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강경한 정책 기조가 현실화하는 상황에서 정부와 정치권이 합심해 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이어졌다.
경총은 “정부와 국회는 국정 운영 공백과 국론 분열에 따른 사회 혼란이 조속히 해결될 수 있도록 여야를 초월한 협치의 리더십을 발휘해 주길 바란다”며 “노사를 비롯한 모든 경제 주체도 각자 본연의 역할에 충실하며 사회 안정과 경제활력 제고를 위해 다 함께 힘을 모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는 “정부 차원의 공식·비공식 외교적 채널을 전면 가동하고 민간 외교관으로서 기업과의 시너지를 견인할 효율적인 협력 체계를 구축해 빠르게 가동해야 한다”며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높은 회복력을 앞세워 각국의 우호적 신뢰를 회복하는 한편 무역·통상의 중심인 기업의 수출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을 전향적인 수준으로 확대해 위기 극복의 돌파구를 열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기업들은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는 않았다. 다만 이날 헌재 결정으로 한동안 경영 환경에 악영향을 미쳤던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됐다고 평가하는 분위기다.
김혜원 기자 ki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