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한덕수 “다음주까지 자동차 산업 긴급 지원대책 발표”

입력 2025-04-03 16:39 수정 2025-04-03 17:23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3일 서울 총리공관에서 경제안보전략 TF회의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트럼프 행정부 ‘상호관세’ 부과와 관련해 “즉시 통상교섭본부장의 방미를 추진하는 등 각급에서 긴밀한 대미 협의를 추진하겠다”고 3일 밝혔다.

한 권한대행은 또 미국으로 수출되는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에 26% 관세가 이날부터 적용되는 데 대해선 “다음 주까지 긴급 지원대책을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한 권한대행은 이날 서울 종로구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제3차 긴급 경제안보전략 TF(태스크포스) 회의’를 열고 이렇게 말했다.

회의에는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성태윤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 신원식 국가안보실장,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한 권한대행은 “이번 미국의 관세 조치는 국제 자유무역 질서와 글로벌 공급망 구조 자체를 바꿔 세계 경제질서를 재편하는 변곡점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수출 주도 우리 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한 권한대행은 그러면서 “위기 상황에서 정부는 기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대미 협상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품목별 관세 부과로 비상등이 켜진 국내 자동차업계를 지원할 대응책을 마련할 것도 약속했다.

미국 외 지역에서 생산되는 자동차와 자동차 주요 부품에 부과하기로 결정한 26% 관세가 이날부로 정식 발효됐다. 한국에서 만든 자동차와 관련 부품도 이 시점부터 미국으로 수출 시 26%의 관세가 붙게 된 것이다. 자동차는 대미 수출 1위 품목이다.

한 권한대행은 “당장 오늘부터 관세가 적용되는 자동차 산업에 대해서는 다음 주까지 긴급 지원대책을 발표하겠다”며 “관계 부처 합동으로 중소·중견기업 등 취약 부문과 업종에 대한 지원대책도 신속하게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한 권한대행은 이어 “긴밀한 대미 협상과 더불어 향후 재편될 통상 질서에 맞춰 우리 산업·경제 구조를 전환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가 됐다”며 “미국 관세 조치 대응을 계기로 우리 산업의 체질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고 불합리한 제도와 관행도 획기적으로 합리화하겠다”고 덧붙였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