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방침에 대해 “단호하게 반대한다”면서 “반격 조처할 것”이라고 3일(현지시간) 밝혔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이날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발표에 대한 담화에서 “이는 국제 무역 규칙에 부합하지 않고 관련국의 정당하고 합법적 권익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전형적인 일방적 괴롭힘 행위”라며 이같이 말했다.
대변인은 “미국은 주관적이고 일방적인 평가를 바탕으로 상호관세를 도출했다”면서 “이에 대해 많은 무역 상대국이 이미 강한 불만과 명확한 반대를 표명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중국은 미국에 즉시 일방적 관세 조치를 철회하고 무역 상대국과 평등한 대화를 통해 이견을 적절하게 해소할 것을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대변인은 또 “역사가 증명하듯 관세 인상은 미국 자체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으며 미국 자신의 이익을 해칠 뿐 아니라 글로벌 경제 발전과 공급망 안정을 위협한다”면서 “무역전쟁에는 승자가 없고 보호무역에는 퇴로가 없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이러한 행위(상호관세)는 수년간 다자 무역협상에서 도출된 이익 균형 결과를 무시하는 것”이라며 “미국이 오랫동안 국제무역에서 막대한 이익을 얻고 있다는 사실도 무시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미국 정부는 중국에 대해 34%의 상호관세율을 적용키로 했다고 발표했다. 다른 주요 국가별 상호관세율은 한국 25%, 유럽연합(EU) 20%, 베트남 46%, 대만 32%, 일본 24%, 인도 26% 등이다.
앞서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외교부장 겸임)은 전날 러시아 관영 매체와의 인터뷰를 통해 “미국이 한사코 압력을 가하고, 심지어 계속해서 각종 위협을 가한다면 중국은 반드시 단호히 반격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중국이 보복관세 등으로 맞대응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중국은 지난달 4일 미국이 자신들에게 10%의 추가 보편관세를 부과하자 즉시 석탄·석유 등 일부 미국산 수입품에 10~15% 관세를 부과하는 등 강력 대응한 바 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