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수요자와 현장 중심으로 ‘청년정책’ 전면 개편

입력 2025-04-03 10:48
경남도가 청년정책 전 분야에 대해 수요자 중심 개편에 나섰다. 경남도 제공

경남도가 청년정책을 수요자와 현장 중심으로 전면 개편한다고 3일 밝혔다.

올해부터 사업 평가‧모니터링, 현장 의견 수렴 강화, 정책 수요에 대한 반영률 점검, 유사‧중복사업 조정 등 청년정책 총괄 관리 체계를 구축해 운영할 방침이다.

먼저 각 사업은 취업률, 청년 정주율, 만족도 등 지표에 따라 성과와 효과를 평가 및 분석하고 정책 참여자 만족도 조사, 청년·전문가 의견 등을 종합해 탈바꿈한다.

청년정책조정위원회, 1000여 명의 도‧시군 청년 네트워크 회원, 10만여 명의 청년정보플랫폼 회원의 의견을 온오프라인으로 상시 받아들이고, 개선점 등 현장 의견을 반영한다.

이를 위해 청년정책조정위원회의 역할을 강화하기로 하고 위원회를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와 청년으로 재구성했다. 청년 창업가, 문화 예술가, 농어업인, 대학생, 경남 정착 청년과 분야별 전문가 등 34명이 주요 청년정책을 심의한다.

특히 청년정책분과와 청년참여분과로 나눠 정책 평가와 현장의 정책 수요, 의견을 제시하고 다양한 청년 참여기구, 청년 단체와 교류 활동도 병행할 계획이다.

도는 ‘머물고 싶은 경남, 성장하는 청년’이라는 비전으로 일자리, 주거, 교육, 복지‧문화, 참여‧권리 등 5개 분야 청년정책 128개 사업에 4007억 원을 투입한다.

청년인구 유출의 주요 원인인 일자리와 교육 분야에 지난해 대비 76% 늘어난 1343억 원을 집중 투입해 일경험 지원을 강화하고 인구감소(관심) 지역 청년 창업가 20개 기업에 2026년까지 20억 원을 지원한다.

교육 분야에서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를 통해 인재를 양성하고 복지‧문화 분야에는 청년의 자산형성 지원을 1800명 수준에서 3714명으로 확대한다.

박명균 행정부지사는 “행정기관이 만든 정책이 현장과 맞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면서 “청년들이 필요하고 청년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책으로 바꿔가겠다”고 밝혔다.

창원=이임태 기자 si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