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제주 4·3사건 관련 미진한 부분에 대한 추가 진상 조사를 올해 안에 마무리해 사각지대를 해소하겠다”고 3일 강조했다.
한 대행은 이날 제주시 제주4·3평화공원에서 열린 ‘77주년 제주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해 “정부는 앞으로도 희생자와 유가족들의 완전한 명예 회복과 보상을 위해 최선을 노력을 다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 대행은 “제주 4·3 정신은 지금 우리에게 무엇보다 중요한 화합과 상생의 가르침을 주고 있다”며 “이념과 세대, 지역과 계층 간의 갈등을 넘어서지 못하면 지금의 위기를 극복하기 어려우며 대한민국의 지속가능한 성장도 불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지금 우리는 나라 안팎으로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우리 국민의 삶과 대한민국의 미래가 좌우될 수 있는 중대한 과제들이 산적해 있다”며 “국민적인 통합이 매우 절실한 때”라고 강조했다.
한 대행은 “서로 용서하고 화해하며 다시 일어선 4·3의 숨결로 대한민국을 하나로 모으고 미래로 힘차게 나아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정부는 국민 여러분과 함께 진정한 화합과 통합의 시대를 열기 위해 온 힘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 대행은 제주4·3을 두고 “냉전과 분단의 시대적 아픔 속에서 수많은 분이 무고하게 희생된 우리 현대사의 큰 비극”이라고 표현했다. 이어 이어 “희생자를 추모하고, 생존 희생자와 유가족들의 아픔을 위로하는 것은 자유민주주의 국가의 기본 책무”라며 “4·3 기록물이 올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희생자를 찾기 위한 유해 발굴과 유전자 감식, 생존 희생자와 유족들을 돕기 위한 복지와 심리 치료 확대 및 트라우마 치유센터 건설 등도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제주4·3은 1947년 3월 1일~1954년 9월 21일 극심한 이념 대결로 제주도에서 무고한 양민 수만명이 국가 폭력에 의해 무자비하게 숨진 사건이다. 2022년 제주4·3 사건 희생자에 대한 보상이 궤도에 올랐고 지난해에는 특별법이 개정됐다. 이에 따라 실제 희생자의 가족인데도 이를 인정받지 못했던 유족들의 명예 회복과 보상이 가능해졌다.
윤석열 정부 들어 제주4·3 희생자 추념식에는 2022년 윤석열 대통령이 당선인 신분으로 참석했다. 이후 2023년과 지난해에는 한 대행이 총리 신분으로 자리했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