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발표한 이후 데이터 분석 기업 ‘엑시거’의 자료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엑시거에 따르면 연간 6000억 달러 수입은 대부분 10개국에서 나온다.
국가별로 보면 중국(상호관세율 34%)이 1490억 달러(약 220조원), 베트남(46%)이 630억 달러(약 93조원), 대만(32%)이 370억 달러(약 54조원), 일본(24%)이 360억 달러(약 53조원)의 추가 관세를 부담하게 되는 것으로 추정됐다. 독일과 아일랜드를 합친 추가 관세 부담분은 410억 달러(약 60조원)로 추정됐다.
엑시거는 이번 상호관세 발표에 대해 “조달, 가격 책정, 지정학적 전략을 재편할 기념비적인 정책 변화”라고 평가했다.
국가별 세율과 관련해 중국은 앞서 마약 유입 문제로 20% 관세가 추가된 상태인 만큼 이번 상호관세율 34%가 더해져 사실상 54%의 관세율이 적용된다고 백악관 당국자는 설명했다.
또 자동차 관세만으로 연간 1000억 달러(약 148조원)의 세수를 확보할 수 있으며, 다른 관세들을 통해 연간 6000억 달러(약 885조원)가 들어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모든 국가에 ‘10%+α’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한국은 25%가 적용됐다. 국가별 상호관세율을 보면 중국 34%, 유럽연합(EU) 20%, 베트남 46%, 대만 32%, 일본 24%, 인도 26%, 태국 36%, 스위스 31%, 인도네시아 32%, 말레이시아 24%, 캄보디아 49%, 영국 10%, 남아프리카공화국 30% 등이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