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관세전쟁’에 우군 확보 나선 中, 인도에도 “수입 확대·무역협력 강화”

입력 2025-04-02 16:08 수정 2025-04-02 16:16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지난해 10월 러시아 BRICS 정상회의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로이터연합뉴스

중국이 한때 국경 분쟁을 겪은 인도에도 더 많은 상품을 수입하겠다며 무역협력을 강화하자고 제안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전쟁에 맞서 우군을 최대한 확보하려는 취지로 풀이된다.

쉐페이훙 인도 주재 중국 대사는 1일 중국 관영 환구시보와 인터뷰에서 “중국은 수년간 인도의 최대 무역국이었다”면서 “인도와 경제·무역 등에서 실질적 협력을 강화하고 더 많은 인도 제품을 수입하며 더 많은 인도 기업과 협력할 의향이 있다”고 말했다.

중국은 인도의 최대 교역국이자 최대 무역 적자국이다. 중국 해관총서(관세청)에 따르면 인도는 지난해 중국에서 1204억 달러를 수입하고 179억 달러를 수출해 1025억 달러의 무역적자를 기록했다.

쉬 대사는 양국 수교 75주년을 계기로 진행된 이날 인터뷰에서 “중국과 인도가 한목소리로 말하면 전 세계가 귀를 기울이고 양국이 협력하면 전 세계가 주목할 것”이라며 “국제질서가 더 공정·공평하고 합리적으로 발전하도록 촉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이날 드라우파디 무르무 인도 대통령에게 보낸 양국 수교 75주년 축전에서 “세계 다극화와 국제 관계의 민주화를 함께 추진하자”고 제안했다. 미국이 주도하는 일극화된 세계 질서에 함께 맞서자는 취지다.

중국과 인도는 오랜 시간 국경 분쟁을 겪어오다 2020년 국경지대에서 발생한 유혈 충돌로 관계가 악화했지만, 시 주석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지난해 10월 러시아 브릭스 정상회의에서 관계개선에 합의했다.

중국은 한국·일본과 통상협력을 강화하는 데도 적극적이다.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 장관은 지난달 30일 서울에서 열린 한·일·중 통상장관 회의에서 “자유무역과 다자간 무역시스템을 지키기 위해 공동으로 노력하자”고 제안했다. 환구시보는 “한·중·일 협력은 반세계화 역풍 속에서 균형을 잡을 수 있는 힘을 제공한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베이징=송세영 특파원 sysoh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