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 부과 시행을 앞두고 1000억원 규모의 ‘비상 수출 대책 2.0’을 본격 가동한다.
부산시는 미국 관세정책 등 통상 환경 변화에 대응해 총 1131억원 규모의 수출 지원 패키지를 수립했다고 1일 밝혔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이날 지역 대표 수출기업 중 하나인 자동차부품업체 ‘이든텍’을 직접 찾아 현장 애로를 청취하고, 긴급 지원책을 소개했다.
부산시 비상 수출 대책 2.0은 ▲관세 피해 긴급 대응 ▲무역금융 확대 ▲물류비 지원 확대 ▲수출 신시장 개척 ▲위기 대응체계 구축 등 5대 분야 10대 과제로 구성됐다. 이번 대책은 지난 1월 발표한 ‘비상수출 대책 1.0’에서 한 단계 진화한 것으로, 기존의 환율 피해 지원, 물류비 보조에서 나아가 ‘관세 대응 119’ 창구 신설, 미주 공동물류센터 확대, 글로벌사우스 시장 진출 지원 등 현장 맞춤형 전략이 강화됐다.
우선 미 관세 조치로 피해가 우려되는 중소기업에 대해 총 1000억원 규모의 긴급 운전자금이 투입된다. 기업당 최대 8억원(향토기업은 9억원) 한도로, 3년간 1.5% 이차보전 혜택이 제공된다. 또 지방세 납부 유예, 세무조사 유예 등 세제지원도 함께 추진된다.
무역금융 분야에서는 연간 수출 3000만 달러 이하 기업 5000곳에 수출보험료를 기업당 최대 200만원까지 지원한다. 수출 신용보증료 한도도 400만원으로 늘리고, 지원율은 기존 60%에서 100%로 확대한다.
해외 물류비 지원은 300개사를 대상으로 기업당 최대 300만원을 지원한다. 아울러 미주 진출을 위해 공동물류센터를 기존 3곳(LA, 애틀란타, 시애틀)에서 5곳으로 늘리고, 해상 운임 등도 추가 지원할 계획이다.
수출시장 다변화를 위한 지원도 강화된다. ‘글로벌 사우스’ 등 신흥시장 진출을 위해 해외 전시회 참가, 무역사절단 파견을 확대하고, 인증·지재권 확보 지원도 글로벌 전 지역으로 확대한다.
시는 또 ‘관세 대응 119’ 원스톱 상담창구를 부산FTA통상진흥센터에 설치해, 상주 관세사가 직접 맞춤형 상담을 제공하도록 했다.
박 시장은 “트럼프 정부의 보호무역주의 강화 속에 부산 수출기업들의 피해를 막기 위해 적기에 대응할 것”이라며 “기업들이 실질적인 도움을 체감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