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국회와 정부, 경제계가 ‘팀 코리아’로 총력을 다해 관세 전쟁에 대응하자”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지사는 31일 평택항 동부두에서 열린 민·관합동 비상경제회의에서 “지금이라도 ‘경제 전권대사’를 임명하고 관세 문제를 비롯한 대외 경제 문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자”고 촉구하며 이같이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완성차는 4월 3일, 자동차 부품은 5월 3일 이전 관세 부과를 예고한 데 대해 국가적 차원에서 시급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면서 김 지사는 ‘트럼프 스톰’에 대응하는 경기도 차원의 대안을 제시했다.
그는 “미국이 자국 내 생산 확대를 강조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 부품업체를 비롯한 중소, 중견기업의 큰 피해가 예상되는 만큼 경기도는 자동차 분야 관세 피해 중소기업에 500억원 규모의 긴급특별경영자금을 지원하겠다”며 “장기적으로 일자리 감소나 지역경제에 미칠 영향까지 고려해서 면밀하게 대책을 수립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한덕수 대행이 이끄는 지금의 정부는 국민의 지지와 신뢰 부족으로 트럼프 정부와 협상이 쉽지 않을 것”이라며 “여야정 합의로 조속히 경제특명 전권대사를 임명해야만 미국을 포함한 타국 정부를 제대로 상대하고 경제외교 공백을 해소할 수 있다”고 말하며 자신이 주장해 왔던 경제 전권대사 임명을 거듭 촉구했다.
이어 “지금 ‘관세 타이머’를 멈추지 않는다면 앞으로 대한민국 경제에 씻을 수 없는 과오와 실수를 저지른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고 경고하며 “국익 앞에 여야는 없어야 한다. 경제만큼은 여·야·정부, 기업들이 원팀으로 똘똘 뭉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김 지사는 여러 차례 현 상황에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그는 “우리 수출의 기둥인 자동차 산업이 위기에 놓였다. 트럼프 발 관세 폭풍이 정말 코앞에 닥쳤다”며 “대기업 한 두 곳만의 문제가 아니다. 수천 개의 1차 벤더, 2차·3차 벤더까지 큰 타격이 예상된다”고 우려했다.
이어 “이러한 절체절명의 상황에서 중앙정부는 무엇을 하고 있는지. 또 정치권은 무엇을 하고 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토로하며 “트럼프 관세에 대처할 능력이 있는지, 의지는 있는지 묻고 싶다”고 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한 중소기업인은 “당기순이익의 90%가 환차익이고, 영업이익은 없다시피 한 상황에서 수백억 관세를 지출하면 도산하는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고,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로 질러놓고 맞상대해서 패키지 딜을 하자는 것인데 우리나라는 협상도 못 하고 일방적으로 얻어맞고 있다”고 하소연 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