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 산불진화대원의 고령화 현상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 대원들은 고난도 산불 현장에 투입되는 ‘산불재난특수진화대’와 헬기를 이용하는 ‘공중진화대’로 분류된다. 이들은 지역 주민들로 구성된 예방진화대원들과 달리 특수 교육과 훈련을 통해 공무직(무기계약직), 기간제 계약직 등으로 채용되고 있다. 산불재난특수진화대와 공중진화대는 50대 이상 대원들이 각각 129명(31%), 30명(29%)인 것으로 확인됐다.
어기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31일 산림청을 통해 받은 산불 진화대 인력 자료를 보면, 산불재난특수진화대는 전국적으로 435명이 활동하고 있다. 이 중 50대 이상이 129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20대(122명), 30대(103명), 40대(56명) 순이었다. 특수진화대원들은 지방산림청 소속으로 국·사유림, 시·도 구분 없이 야간, 고난도 산불 발생 현장 등에 투입된다.
공중진화대는 산불 진화를 위해 헬기에서 레펠로 강하하거나 헬기로 진화를 하는 전문인력들로 전체가 산림항공본부에 소속돼 있다. 전국적으로 총 104명이 활동 중인데 30대가 48명으로 가장 많았지만, 50대 이상이 30명으로 집계됐다. 이어 40대가 21명, 20대가 4명이었다.
전문가들은 전문 산불 인원과 관련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황정석 산불방지정책연구소장은 “젊은 사람들이 산불 전문인력에 도전하지 않는 이유는 무기계약직이라 월급도 적고, 승진 기회도 없기 때문”이라며 “막상 채용되더라도 교육 등에 실망해 떠나는 사람들이 많다”고 말했다. 황 소장은 “우리나라의 넓은 산림을 고려했을 때 전문인력이 539명밖에 없는 것도 불을 끄기엔 턱없이 부족한 숫자”라고 했다.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산불 진화 인력이 부족하다는 경고는 계속 있었지만, 이번 산불을 계기로 관련 업무를 소방청으로 이관해 고령화, 인력 구조 등을 대폭 개편해야 한다”며 “합동 훈련, 교육을 진행해 빠르게 산불을 예방·진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어 의원은 “산불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위협하는 재난인 만큼 체계적이고 신속한 대응이 필수적이다. 산불 전문 인력을 충원하고 이들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윤예솔 기자 pinetree2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