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민에게 집중할 시간”…주거 시설 확보에 속도낸다

입력 2025-03-31 14:17
경북도가 31일 안동시 일직면에 긴급주거시설로 모듈러주택 40동을 설치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경북 산불로 3300채 이상의 주택이 불에 타 수천 명의 이재민이 발행한 가운데 당국이 이들을 위한 임시 주거시설 확보에 속도를 내는 등 이재민 보듬기에 주력하고 나섰다.

31일 경북도 등에 따르면 이번 산불로 대피했다가 집으로 돌아가지 못해 대피소 생활을 하는 이재민이 3773명에 이른다. 이들은 대부분 고령자로 일주일 이상 대피소에서 불편한 생활을 감내하고 있다.

이에 도는 이들에 대한 주거와 의료, 생필품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경북도는 이날 안동 일직면에 긴급주거시설로 모듈러주택 40동을 설치하고 이재민들이 입주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재민들이 생활 터전과 가까운 곳에서 생활하며 농사 등 생업을 할 수 있도록 거주지 인근에 마을 형태로 임시 주거시설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체육관 등 불편한 생활에 지친 이재민을 위해 환경이 조금이라도 나은 기업 연수원, 리조트 등도 확보하기로 했다.

이 같은 방침은 평소 “이재민들은 호텔 등 최고급 숙박시설에 모셔야 한다”고 강조해 온 이철우 경북도지사의 철학이 반영된 것이다.

이재민 4000여명을 수용할 수 있는 43곳의 임시주거시설을 확보해 현재 639명의 이재민이 연수원 등에서 일시 거주 중이다.

안동시도 산불로 주거지를 잃은 이재민들을 위해 임시주거용 조립주택을 지원한다.

산불로 주거지가 전파, 반파되는 등 정상적인 주거가 어려운 주민들이 지원대상이다.

기본 지원 기간은 1년이나 필요하면 연장될 수 있다. 다만, 조립주택의 소유권은 지자체에 귀속되며 지원받은 주민이 피해 주택을 복구하거나 다른 거주지로 이주할 경우 조립주택은 회수된다.

1차로 4월 6일까지 접수하고 있으며 주택지원을 원하는 주민은 해당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해 신청하면 된다. 신청은 피해 관련자가 직접 방문해 접수해야 한다.

제공되는 조립주택의 규모는 3m×9m(약 8.2평)이며 내부에는 방과 거실, 주방, 화장실이 포함돼 있다. 또 싱크대, 가스레인지, 에어컨, 수납장 등 생활 필수시설이 갖춰져 있으며 기본적인 소방시설도 마련돼 있다.

권기창 안동시장은 “이번 산불로 피해를 입은 주민들에게 안정적인 주거를 제공하고 하루빨리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것”이라며 “산불 피해가 큰 만큼 복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경북도는 이재민 건강관리를 위해서 의사 47명과 약사 15명을 대피소별로 배치했고 이날부터는 경북의사회 소속 100명을 추가로 투입한다.

감염병 예방을 위해서도 도내 22개 시군 보건소가 피해지역을 순회하며 방역 소독과 방역물품을 지원하고 있다.

산불이 처음 발생한 의성군은 피해조사를 마무리되면 바로 응급 복구에 나설 수 있도록 31일 오후 각 읍면장과 부서장을 소집해 복구 태스크포스(TF)를 출범해 운영한다.

이재민 등 주민들이 하루라도 빨리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피해조사가 끝나는 대로 신속하게 응급 복구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이한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차장도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산불 대응 중대본회의를 열고 “최우선 과제는 이재민 구호와 광범위한 지역에 걸친 대규모 피해를 하루 속히 수습하고 복구하는 일”이라면서 범정부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중대본은 이재민에 대한 의약품 지급 등 의료지원과 트라우마 치료를 위한 심리지원을 강화하고 이재민 주거지원을 위한 임시주거시설도 조기에 공급하기로 했다.

또 산불피해를 입은 중소기업이나 소상공인을 위한 융자·보증, 경영자금 지원, 농업인에 대한 농기계 무상 지원 등도 실시한다고 덧붙였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