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산불에 놀란 지자체들 산불진화 체계 개선 서둘러

입력 2025-03-31 13:39 수정 2025-03-31 13:44
경북 안동 산불 당시 모습. 국민DB

역대 최악의 피해를 입힌 영남 산불에 충격을 받은 지방자치단체들이 산불 진화 시스템 개선을 서두르고 있다. 천문학적인 피해를 내는 산불의 대형화, 장기화를 막지 못하면 주민들의 일상이 멈춘다는 위기의식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대구시는 31일 대구 산불 진화 체계 개선 등의 내용 등을 담은 ‘대구시 산불 예방 조치 및 경북지역 산불 피해 지원 대책’을 발표했다.

대구시는 초동대처 강화를 위해 전국 최초 ‘재난안전기동대’를 창설할 방침이다. 대구시가 2022년 전국에서 처음으로 운영한 ‘산림재난기동대’를 재난안전실 직속으로 확대·개편해 재난안전기동대로 운영할 계획이다.

재난안전기동대는 기존 기동대를 통합하고 공무직을 추가 채용해 20명 정도의 정규조직으로 구성할 예정이다. 해군특수전단(UDT), 특전사, 해병대 등 군·경 출신의 정예인력을 선발할 예정이다.

경북도 역시 산불 진화 대응 시스템 대전환 계획을 밝혔다. 산불 진화의 핵심 전력인 공중진화 작전을 위한 장비 보강과 야간에도 진화 작업을 할 수 있는 최첨단 장비 도입 등이 목표다.

경북도는 대용량 소화제 등을 신속하게 살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산악 지형에서도 주행이 가능한 대용량 진화장비 도입에도 나선다. 공중 진화작업 효율성 극대화를 위해 대용량 담수가 가능한 군 수송기를 산불 진화 작업에 투입하는 방안도 관계 기관들과 논의할 방침이다.

또 산불 진화를 위한 전용 소방차 개발과 산불 진화용 드론, 무인 진화 로봇 등 인공지능(AI)에 기반한 첨단 장비 도입 등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야간 시간 진화헬기 투입을 위한 국토교통부 지침 개정 등 규제 완화를 촉구하고 산불 확산 속도를 좌우하는 풍속에 따른 대피기준 마련에도 적극 나설 예정이다.

한편 대구시는 재해구호기금 5억원을 마련해 피해 규모가 큰 경북 의성군·안동시·청송군·영양군·영덕군에 각각 1억원씩 지원할 계획이다. 시민성금 특별모금도 대대적으로 전개한다. 이재민을 위한 물품과 봉사 인력, 시설 등도 지원할 방침이다.

대구시는 또 대형산불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조치로 산불예방 행정명령을 4월 1일부터 발령한다. 일부 구간을 제외하고 팔공산, 앞산, 비슬산 등 입산객이 많은 주요 명산과 아미산, 초례산, 마정산, 대덕산 등 산불발생 시 대형화 위험이 큰 산 등의 출입을 전면 금지한다. 불을 피우거나 담배를 피우는 행위, 쓰레기 소각 등 모든 화기사용도 엄격히 제한된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