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산불 피해지역 주민들이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촘촘하게 지원대책을 실행하고 복구대책에 나선다고 31일 밝혔다.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전날 브리핑을 통해 “국립공원 1호인 지리산 천왕봉을 산불로부터 지킨건 헌신적으로 대응한 330만 도민 여러분 덕분”이라며 “진화 과정에서 순직하신 공무원과 산불진화대원 깊은 애도를 표하며 유가족과 부상자에 대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산불은 경남 산청군 시천면 신천리에서 지난 21일 발생해 1858㏊의 산림이 소실되고, 2158명이 대피했으며 주택, 공장, 종교시설, 문화재 등 총 84곳이 피해를 입었다.
박 지사는 “산불 피해를 입은 도민들을 위해 경남도가 신속한 복구를 추진하겠다”며 “또한 지역 주민들이 조속히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촘촘한 지원 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먼저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지역 중 산청군 시천면·삼장면과 하동군 옥종면 주민 약 1만명에게는 도비 30억원을 들여 1인당 30만원의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한다.
생계유지가 어려운 가구에 대해서는 정부 긴급복지지원과 도 희망지원금을 통해 생계비, 의료비, 주거비, 난방비 등을 차등 지원하며 기탁받은 성금도 빠르게 지원하는 방안을 모금기관과 협의 중이다.
현장응급의료소 운영과 환자 모니터링, 재난심리서비스 등 의료와 심리 지원을 지속하고 대피소 생활 종료 이후에도 마음안심버스를 통해 마을 단위 심리지원을 이어갈 계획이다.
주택 피해 가구에 대해서는 한국선비문화연구원과 임시조립주택 등 임시 주거지를 제공하고, 장기적으로는 정부 주거비와 추가 융자 이차보전을 통해 주거 안정을 지원할 계획이다.
산청‧하동지역 소상공인에게는 총 100억 원 규모의 긴급 경영안정자금을 융자 지원한다. 지역사랑상품권을 총 469억 원 규모로 확대 발행하고 농업인에 대해서는 경남도 농어촌진흥기금을 통해 개인당 5000만원(법인 3억 원)의 저리융자를 제공한다.
또 농업인의 기존 대출 상환 유예와 이자 감면을 지원하고 농약대, 대파대, 가축 입식비, 농업시설 지원 등도 정부와 협력해 병행 추진한다.
산림피해 복구를 위해서는 산사태 등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긴급 진단과 벌채를 하고 지자체 현장 조사와 관계기관 합동조사를 통한 복구계획을 수립해 피해지역 특성에 맞는 연차별 조림 복원을 할 계획이다.
박 지사는 이번 산불 대응 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지적하며 정부를 향해 제도 개선도 촉구했다.
우선 민간 헬기 이착륙 허가 절차 간소화를 제안하면서 “특별재난지역 등 긴급 상황에서는 민간 헬기도 사전 허가 없이 즉각 투입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중앙정부와 지속적으로 협의해 개선이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경남에 ‘국립 남부권 산불방지센터’ 설립을 건의하면서 “경남은 남부권 중심지이자 지리산과 직접 연결된 지역”이라며 “산불방지센터를 통해 예방과 진화의 거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정부와 긴밀히 소통하겠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박 지사는 지방자치단체의 전문 진화대와 산림청 특수 진화대 모두 장비와 인력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실을 지적하며 국가 차원의 과감한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경남도는 재발화에 대비해 24시간 상황실을 운영하고 열화상 드론 등으로 산불 상황을 지속적으로 지켜보고 있다. 공중·특수진화대, 소방, 공무원 등 350여 명의 인력과 헬기 40대, 진화차 79대도 집중 배치해 대비 중이다.
창원=이임태 기자 si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