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올해 6672억원 투입해 1인 가구 맞춤형 지원

입력 2025-03-30 16:45 수정 2025-03-30 16:46
1인 가구 맞춤형 경제 교육. 서울시 제공

서울시가 올해 6672억원을 투입해 서울 1인 가구를 위한 맞춤형 지원을 강화한다. 1인 가구를 19~39세 청년, 40~64세 중장년, 65세 이상 노인으로 세분화해 월세 지원, 병원 동행 등 각자의 수요에 맞는 정책을 집행한다.

시는 30일 1인 가구 맞춤형 지원 강화 방안을 발표하며 ‘일상지원’, ‘자립지원’, 연결지원‘ 3대 분야로 구성된 34개 사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서울 1인 가구는 2010년 85만 가구(전체 가구수 대비 24.4%), 2020년 139만 가구(34.9%), 2023년 163만 가구(39.3%)로 가파르게 늘어나고 있다.

시는 올해 중장년 1인 가구에 대한 지원을 확대한다. 청년·노인 1인 가구와 비교해 맞춤형 정책이 많지 않았던 점을 고려했다. 먼저 중장년 1인 가구가 최대 8차례 함께 식사할 기회를 제공하는 ‘혼밥 탈출’ 정책을 처음으로 시행한다. 요리 교실인 ‘행복한 밥상’, 재취업 등 은퇴설계 교육 등을 지원하는 ‘맞춤형 경제교육’도 자치구 1인 가구 지원센터를 통해 시행한다. 또 주거 공간 활용과 관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중장년 1인 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정리수납 교육·챌린지를 신규로 운영한다.

시는 청년 대상 부동산 지원도 확대·유지한다.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무주택 청년에게 부동산 중개보수 및 이사비를 최대 40만원 지원한다. 지원 대상은 지난해 8500명에서 올해 1만명으로 확대된다. 시는 또 보증금 8000만원, 월세 60만원 이하의 주거지에 거주하는 취약계층 청년 1만5000명에게 1년간 1달 최대 20만원을 지급한다. 중개활동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주거안심 매니저가 전월세 계약 상담 등을 지원하는 ‘안심 계약 도움 서비스’도 확대한다.

시는 노인 1인 가구를 타깃으로 한 ‘병원 안심 동행 서비스’를 주 2회에서 월 10회로 확대한다. 이 서비스는 동행 매니저가 노인 등을 대상으로 병원 접수, 수납, 약 수령, 귀가 등을 지원하는 정책이다. 또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최신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안부 확인 서비스’도 추진해 노인 고독사를 방지할 계획이다.

시는 1인 가구를 위한 안전망도 구축한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안전 사각지대를 발굴해 지능형 CCTV 1800대를 설치한다. 노후 CCTV 3300여대도 교체한다. 1인 가구와 스토킹범죄 피해자 등 2100여명에게 현관문 안전장치, 가정용 CCTV 등으로 구성된 안심장비를 지급한다.

김용헌 기자 y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