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이 2027년말까지 ‘운전자는 전방 주시만 하고, 사실상 차가 스스로 움직이는 수준’의 자율주행 기술을 양산차에 적용하겠다는 로드맵을 공개했다. 현대차가 글로벌 자율주행 기술 경쟁에서 뒤처졌다는 평가를 뒤집고 격차를 좁힐지 관심이 쏠린다.
현대차그룹은 28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국내외 개발자들을 초청하고 개발자 콘퍼런스 ‘Pleos 25(플레오스 25)’를 개최하고 새 모빌리티 소프트웨어(SW) 브랜드 Ploes(플레오스)를 공식 발표하고, 자율주행 담당 인공지능(AI) ‘Atria(아트리아) AI’를 함께 소개했다.
아트리아 AI는 현대차그룹의 자율주행을 담당하는 AI로, 8개의 8M Pixel(메가픽셀) 카메라와 1개의 레이더를 통해 도로 형상과 상황을 인식하며, HD 맵(고정밀 지도) 없이도 작동한다.
현대차·기아 AVP본부장인 송창현 사장은 키노트 연설에서 “(아트리아 AI는) 각 국가의 교통 법규를 준수할 수 있도록 안전장치를 갖고 있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수직 계열화로 최적화돼 있다”며 “고성능 CPU(중앙처리장치)와 NPU(신경망 처리 장치)를 활용해 연산을 수행한다”고 설명했다.
자율주행 기술 적용 로드맵도 밝혔다. 2026년 3분기에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SDV) 시제품에 적용되고, 2027년말에는 양산차에 레벨 2+ 수준의 자율주행 기술을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자율주행 기술은 운전 자동화 단계에 따라 6단계(레벨 0~5)로 구분되며 레벨 0~2는 운전자 보조기능, 3~5 레벨은 자율주행 기능으로 나눈다. ‘레벨 2+’의 명확한 정의는 없지만, 통상 운전자가 전방 주시만 하고 사실상 차가 스스로 움직이는 단계를 의미한다. 차량이 스스로 움직일 수 있지만, 운전자의 모니터링은 필요한 단계다. 지난해 메르세데스-벤츠가 미국에서 레벨 3 수준 기술을 탑재한 차량을 판매하며 상용화에 나섰다.
현대차그룹이 주요 기업들과의 자율주행 기술 격차를 좁힐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현대차그룹은 포티투닷과 모셔널을 중심으로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데, 최근 글로벌 시장 조사 기관 가이드하우스가 발표한 ‘2024 자율주행 기술 순위’에서 모셔널은 15위에 올랐다. 1년 전보다 10계단 하락한 수치다. 올해 1위는 미국의 웨이모며, 2위는 중국의 바이두다.
송 사장은 “자율주행 개발은 대규모 학습 인프라가 필요한데 우리는 올해 3500대 GPU 노드를 확보했다”며 “지속적인 최적화로 더 적은 GPU로 빠른 학습이 가능하도록 효율성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