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위기 대응에서 시작된 비상경제대책회의가 50회를 거치며, 민관 협치의 구심점이자 부산 경제 전략의 중심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부산시가 27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제50차 비상경제대책회의를 열고, 민생경제 회복과 혁신 성장 전략을 주제로 그간의 성과를 점검하고 향후 과제를 공유했다. 이번 회의는 박형준 부산시장이 직접 주재했으며, 안성민 시의회 의장, 양재생 부산상공회의소 회장을 비롯해 기업인, 전문가, 공공기관 관계자 등 50여 명이 참석했다.
박 시장은 “50차례의 회의를 통해 총 396건의 정책을 발굴했고, 이 중 196건은 이미 완료했다”며 “7조2749억원의 예산을 반영해 위기 대응과 민생 회복에 속도를 낼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2021년 4월 코로나19 팬데믹의 충격 속에서 출범한 비상경제대책회의(민관 협력 정책 플랫폼)가 지역 경제 회복과 성장의 발판을 어떻게 마련해 왔는지 구체적 사례들이 공유됐다. 박 시장은 “소상공인 3무(무이자·무보증·무담보) 특별자금, 관광업계 선결제 프로젝트, 조선업 긴급 지원 등도 이 회의에서 논의돼 시행된 대표 사례”라고 설명했다.
이어 “부산은 과거 대한민국 산업화의 전진기지였지만, 수도권 일극 체제 심화로 성장 정체를 겪었다”며 “이제는 디지털 전환, 신성장 산업 육성, 혁신 인재 양성 등을 통해 새로운 도약의 전기를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글로컬 대학 지정, 라이즈(RISE) 선도모델 전국화, 1조원 규모 벤처펀드 조성, AI·양자 기술 인프라 확대는 부산이 경제 중심 도시로 나아가는 핵심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자유토론에서는 산업 생태계 조성, 인재 유출 방지, 청년 정주 여건 개선, 관광 콘텐츠 확충, 항공노선 확대 등 지역 현안에 대한 다양한 제안이 이어졌다.
부산관광협회 관계자는 “중국과 일본 관광객이 늘고 있지만, 이들을 위한 콘텐츠와 체류 동선 개발이 시급하다”고 했고, 조선기자재 업체 관계자는 “강서권 연구·개발(R&D) 인프라 구축과 정주 여건 개선이 인력 유치에 중요하다”고 밝혔다. 동아대 관계자는 “지자체 이관이 본격화한 라이즈 사업에 있어 대학 운영 사정을 고려해달라”고 요청했고, 부산 AI융합대학원 관계자는 “AI 인재의 수도권 유출을 막기 위해 부산형 AI 연구소 설립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 밖에도 ▲기회발전특구 추가 지정을 위한 지역 맞춤형 인센티브 설계 ▲대학의 기업 연계 혁신 생태계 참여 확대 ▲디지털 금융 확산에 따른 소외계층 포용 전략 ▲중소기업 R&D와 연계한 융복합 인재 양성 ▲전통시장과 소상공인의 창업 지원 및 브랜드화 ▲마이스 산업의 기획력 강화를 위한 R&D 지원 등 다양한 과제가 함께 제시됐다.
박 시장은 “부산이 지금 추진 중인 각종 프로젝트는 단기 처방이 아니라 구조적 변화와 도약을 위한 전략”이라며 “앞으로도 현장성, 전문성, 협업성을 갖춘 비상경제대책회의를 중심으로 민관이 함께 부산의 미래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시는 앞으로도 비상경제대책회의를 정기적으로 운영하며, 변화하는 경제 환경에 기민하게 대응하고 회의에서 도출된 정책을 신속히 실행해 나갈 방침이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