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국 패널 업체들이 OLED 모니터 시장에 속속 진출하고 있다. LCD 중심의 모니터 시장이 프리미엄 OLED으로 옮겨가면서 마진율이 높은 OLED 시장을 넘보는 모양새다. 전 세계 OLED 모니터 출하량은 전년 대비 올해 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TCL, 에버디스플레이(EDO), 차이나스타 등 중국 패널 업체들은 최근 OLED 모니터 패널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OLED 모니터 수요가 급증하자 발 빠르게 대응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올해 OLED 모니터 시장 규모는 33억2739만 달러(약 4조8842억원)로, 지난해 15억6551만 달러(2조2980억원) 대비 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출하량은 지난해 128만대에서 올해 260만대, 내년에는 304만대로 가파른 증가세를 보일 전망이다. 인공지능(AI) PC 수요가 증가하는 데다가 윈도우 업그레이드에 따른 PC 교체, 하이엔드 PC 및 게이밍 모니터 시장의 성장 등이 OLED 모니터 수요 급증의 배경으로 꼽힌다.
모니터 시장에서 LCD 매출 증가 폭이 둔화하는 것과 비교하면 OLED 매출 성장세는 더욱 두드러진다. 지난해 LCD 모니터 매출은 전년 대비 20% 성장한 반면, OLED 모니터 매출은 165% 증가했다. OLED 모니터가 시장 개화 후 불과 3년 만에 글로벌 모니터 시장의 12%를 차지하며 빠르게 점유율을 키우고 있는 것이다. 2022년에는 OLED 모니터가 전체 모니터 매출의 1%에도 미치지 못했다.
2022년만 해도 OLED 모니터를 양산하는 제조사는 LG전자, 삼성전자 등 8곳에 불과했지만 지난해에는 ASOS, DELL 등이 참여하며 16개 제조사로 늘었다. 애플은 2028~2029년쯤 아이맥(iMac)에 OLED를 적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모니터용 OLED 시장을 수성하기 위해 국내 기업들은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LG디스플레이는 모니터용 OLED 패널 양산 2년 만에 고객사 10여곳을 확보하며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독자 기술을 확보해 중국 등 경쟁사와의 격차를 벌리고 있는 것이다.
LG디스플레이는 올해 하반기 모니터용 4세대 OLED 패널을 출시할 계획이다. 최근에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5K2K(5120×2160) 해상도의 게이밍 OLED 패널 양산을 발표했다. 5K2K 화질은 4K(3840×2160)를 뛰어넘는 픽셀 밀도로 선명하고 디테일한 화면을 재현한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최근 모니터용 퀀텀닷(QD)-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출하량을 전년보다 50% 이상 확대한다는 목표를 밝혔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