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생명운동연대(상임공동대표 조성철)가 25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세미나와 정책토론회를 열고 우리 사회의 생명 안전망 구축을 위해 종교계가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촉구했다.
이날 토론회는 7대 종교(기독교 천주교 불교 원불교 유교 천도교 한국민족종교협의회)로 구성된 한국종교인연대를 비롯해 33개 시민단체가 함께 하는 한국생명운동연대가 생명존중 문화 확산을 지향하며 2021년 선포한 ‘생명존중의 날(3월 25일·삶이오)’을 맞아 진행됐다.
세미나의 기조강연에 나선 박인주 나눔국민운동본부이사장은 “현행 보건복지부의 정책만으로는 자살 문제를 해소해나가기에 한계가 있다”며 “자살률을 성공적으로 낮춘 일본의 사례를 토대로 자살대책기본법을 마련하고 모든 지자체에 조례 제정, 자살예방센터 설치 등을 골자로 하는 자살예방계획수립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자살 예방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준비가 돼있는 7대 종교 단체에 자살대책기구를 설치한다면 효과적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주제발표에 나선 이노우에 켄 일본 고치대 교수는 한국보다 자살률이 높았던 일본이 자살을 줄이기 위해 2006년 시행한 자살대책기본법을 소개하며 자살 문제 해결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켄 교수는 “일본은 내각관방(한국의 대통령실)에 관계부처 각료로 구성된 자살대책위원회를 운영해 10년여에 걸쳐 자살을 32% 낮출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이 2016년 개정된 자살대책기본법을 바탕으로 각 지자체에 자살대책계획 수립과 시행을 의무화한다면 효율적으로 자살률을 낮출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 양국이 협력해 자살대책을 강구하자”고 제안했다.
한국의 지난해 자살자 수는 1만4439명으로 전년(1만3978) 대비 461명(3.3%) 늘었다. 자살자 수가 역대 최고로 치솟은 2011년(1만5906명) 이후 1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반면 이웃나라 일본은 전년 대비 자살자 수가 1569명(7.2%) 줄어 대조를 보인다.
이범수 동국대 교수가 좌장을 맡은 정책토론회에서는 사공정규 경북광역정신복지센터장 양두석 안실련자살예방센터장 김은진 서울시자살예방팀장 등이 참석해 자살률 감소를 위한 지자체와 종교계의 역할을 짚었다.
양 센터장은 “한국교회에는 주변에 힘이 들고 어려운 일을 겪는 이들을 만날 때 신앙의 동반자로서 도움의 손길을 내밀고 하나님이 주신 소중한 생명을 지키려는 성도들이 많다”며 “기독교계가 앞장서 우리 사회에 힘들고 곤경에 빠진 사람들을 위한 생명 안전망을 구축해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최기영 기자 ky710@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