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린 고령자들도 안전하게”… 제주도, 보행 신호체계 바꾼다

입력 2025-03-25 12:13 수정 2025-03-25 16:20

노인 인구의 비중이 점차 늘어나는 가운데 제주에서 고령자의 보행 특성에 맞춰 신호체계를 개선하는 작업이 이뤄진다.

25일 제주자치경찰단은 급증하는 고령자 보행 중 교통 사망사고 예방을 위해 올해 말까지 총 219곳에 대해 보행 신호체계와 교통안전시설 개선을 추진한다고 25일 밝혔다.

대상지는 고령자가 많이 살거나, 병원·복지관 등 고령자들의 방문 비율이 높은 지역의 횡단보도를 중심으로 선정했다.

우선 교차로에서 보행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보행 전 시간 기법’을 도입한다. 차량 신호 종료 후 1~2초 뒤에 보행신호가 표출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보행 신호에 건너는 고령자와 교차로를 미처 통과하지 못한 차량 간의 충돌 위험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준다.

횡단보도 보행 신호시간을 고령자의 평균 보행 속도에 맞춰 연장하고, 단일 횡단보도에서는 신호 주기를 단축해 보행자의 대기 시간을 줄이는 방안도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자치경찰단은 또 ‘제주도 노인 및 장애인 보호구역 교통안전에 관한 조례’를 개정해 노인보호구역 외에도 보호구역에 준하는 교통안전시설물을 설치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할 계획이다.

제주지역 보행 교통사고 사망자는 2020년 30명에서 2023년 15명으로 줄었다. 하지만 65세 이상 고령자 사망 비율은 43~66% 범위에서 매년 늘고 있다. 특히 지난해에는 보행자 사망사고 26명 중 76%(20명)가 고령자로 나타났다.

이번 사업은 한국도로교통공단 제주지역본부와 함께 진행한다.

오광조 자치경찰단 교통정보센터장은 “신호체계 개편을 통해 고령자 보행자 교통사고를 줄이고, 안전한 보행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행정안전부 인구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제주지역 인구 67만379명 중 65세 이상은 12만6985명으로 18.9%를 차지했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