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성동구가 올해 지역 여건과 산업 구조에 맞는 양질의 일자리 9000개를 창출할 계획이라고 25일 밝혔다.
구는 이를 위해 ‘2025년 일자리대책 추진계획’을 마련했다. 추진계획에 874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추진계획은 ‘스마트 혁신경제 기반 조성’, ‘사회적가치 실현 일자리 창출’, ‘청년 취·창업 활성화 추진’, ‘대상별 맞춤형 일자리 지원’ 등으로 구성됐다. 구체적으로 176개의 실천 사업으로 이뤄졌다.
구는 먼저 지식산업센터에 입주한 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한다. 민관 협력 관리 시스템인 ‘타운매니지먼트’도 새롭게 도입한다. 또 성수 IT산업 유통 개발 진흥지구를 넓히고, 지역 제조업을 활성화하는 등 맞춤형 일자리를 창출할 방침이다.
구는 ‘성동형 청년친화도시’도 구축 중이다. 이는 청년들의 역량을 개발하고, 자립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또 올해 상반기 중 청년 창업 공간을 조성하고, 대학과 협력해 지역 인재를 양성하는 ‘캠퍼스타운 조성 사업’을 진행한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지역 특성과 발전 전략을 고려한 일자리 정책을 통해 청년, 어르신 등 대상자별 맞춤형 일자리 창출에 매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용헌 기자 y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