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의성에서 사흘째 이어지고 있는 산불이 건조한 날씨 속 강풍을 타고 안동으로 확산하면서 안동시가 인근 주민을 긴급 대피시키는 등 대응에 나섰다.
안동시와 이웃한 청송군도 길안면과 청송군을 지나는 930번 지방도로를 따라 산불감시원을 배치하는 비상근무에 들어갔다.
24일 경북도와 안동시 등에 따르면 의성 산불은 이날 오후 안동시 길안면 현하리 인근 산으로 번졌다.
안동시 길안면 현하리 주민 김동진(60) 씨는 “전날부터 의성쪽에서 연기가 보이기 시작했고 오늘 오후부터 바람이 강하게 불면서 불길이 순식간에 의성지역에서 안동지역으로 넘어왔다”며 “대부분의 주민들은 벌써 대피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시는 산불 확산에 따라 길안면 주민들에게 “의성 산불이 길안면 현하리 산 291로 확산되었습니다. 마을 주민들께서는 즉시 안전한 곳(길안초‧길안중)으로 대피해 주시기 바랍니다”는 명령을 내렸다.
또 이날 오후부터 길안사거리∼의성 옥산삼거리 914호선 지방도 양방향을 통제했다.
시는 남선면, 임하면 일부 주민에게도 마을회관이나 학교 등에 대피하라는 재난 문자를 보냈다.
길안면을 비롯해 남선면, 임하면에서 대피한 인원은 주민 270여명, 요양원 입소자 800여명 등 모두 1080여명이다.
안동시 관계자는 “의성 옥산면과 안동 길안면이 이어지는 산꼭대기 부근에 연기가 올라오는 것이 보여 산 아래 주민 대피 명령을 내렸다”고 말했다.
시는 불이 급격하게 번질 것에 대비해 길안면사무소에 산불현장 통합 지휘본부를 꾸렸다.
이곳에는 훈련받은 산불전문진화요원 50여명과 공무원 150여명 등이 대기하고 있다.
불이 번진 안동시 길안면은 산악지대로 진화대의 직접 접근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앞서 의성 산불이 시작된 지난 22일 길안면과 임하면 주민, 요양원 입소자 등 200여명을 안전한 곳으로 대피시켰다. 23일에는 일직면과 남후면 주민 80여명에게 안동체육관으로 대피하도록 했다.
안동에서는 현재 의성 산불 현장에 파견된 인원을 제외한 산불진화대원들이 의성군과 경계 지역에서 24시간 순찰 활동을 펼치는 중이다.
의성군과 맞닿은 일직면 행정복지센터 직원들도 비상근무를 하면서 산불 확산 여부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의성 산불이 안동까지 미치자 안동시와 이웃한 청송군도 길안면과 청송군을 지나는 930번 지방도로를 따라 산불감시원을 배치하고 드론을 이용해 의성 산불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 중이다.
사흘째 계속된 의성 산불이 이날 오후 4시 10분쯤 도로를 경계로 두고 마주한 안동시 길안면 현하리 야산으로까지 번진 상황이라 방화선 구축 범위는 전날보다 늘었다.
강풍과 높은 기온 등 악조건이 겹치면서 당국이 진화 작업에 어려움을 겪은 탓에 이날 오후 6시 기준 의성 산불 진화율은 낮 12시 기준 71%보다 떨어진 60%로 집계됐다.
산불영향구역은 8490㏊로 추정되며 전체 화선 164㎞ 가운데 66.4㎞에서 진화 작업이 진행 중이다.
의성 산불이 안동까지 미치자 안동시와 이웃한 청송군도 길안면과 청송군을 지나는 930번 지방도로를 따라 산불감시원을 배치하고 드론을 이용해 의성 산불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 중이다.
특히 불이 번진 안동시 길안면과 인접한 파천면에서는 면 직원과 산림진화대원 등 수십명이 순찰을 하며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
군 당국은 날이 밝는 대로 드론을 띄워 산불 진행 상황을 모니터하고 주민 대피 등 비상 상황에 대비한다는 방침이다.
청송군 관계자는 “의성 산불이 서풍을 타고 동쪽으로 향하고 있어 걱정이 크다”며 “모든 행정력을 동원해 확산 방지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