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인중개사협회는 24일 당근과 네이버, 다방 등 부동산 직거래가 가능한 플랫폼의 허점을 이용한 연쇄 사기 사건이 발생하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협회에 따르면 서울 성동구에서 오피스텔 임대업을 하는 박모씨는 직거래 플랫폼에 월세 매물을 올렸다. 박씨는 “지금 오피스텔 앞인데 직접 보고 갈테니 비밀번호를 알려달라”고 A씨가 요구하자 전화로 비밀번호를 알려줬다.
어차피 비어 있는 집이라 비밀번호를 가르쳐 준 박씨는 이후 경찰로부터 해당 오피스텔에서 사기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는 연락을 여러 차례 받았다.
알고 보니 A씨는 박씨의 오피스텔을 마치 본인 소유 매물인 양 직거래 플랫폼에 광고하며 집을 보러온 사람들에게 가계약금을 갈취한 것으로 드러났다.
박씨가 보증금 1000만원, 월세 120만원에 내놨던 이 오피스텔을 A씨는 시세보다 훨씬 저렴한 보증금 1000만원, 월세 50만원에 내놨다.
협회에 따르면 A씨는 매물을 보고 연락한 피해자들에게 “나는 멀리 있으니 직접 집을 둘러보라”고 권하며 비밀번호를 알려줬다. 이후 계약금의 10~20%를 보내라고 한 뒤 이를 받고 잠적한 것으로 파악됐다.
협회는 “(A씨가) 본인 이름으로 위조된 등기사항증명서와 신분증 등도 (피해자들에게) 보여줬다”며 “일부 피해자는 당일 계약한다는 이유로 보증금 1000만원 전액을 편취 당했다”고 전했다.
이러한 수법에 당한 피해자는 매물 1건당 20~30명에 달하며, 그 피해는 전국적으로 확산하고 있다고 협회는 설명했다. 협회는 “좋은 매물이 주변보다 50% 이상 저렴하다는 유혹에 특히 형편이 어려운 대학생 및 젊은이들의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며 “공실이라 해도 절대 매물 출입문 비밀번호 등을 쉽게 알려주지 마시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