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디딤돌소득 전국화 추진하겠다”

입력 2025-03-24 16:02 수정 2025-03-24 16:30
오세훈 시장이 24일 서울시청에서 개최된 ‘디딤돌소득 정합성 연구 결과 발표’에서 ‘디딤돌소득 비전’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오세훈 서울시장은 24일 “기본소득은 취약계층에게 부족하게 지원하고, 초고소득계층에는 전혀 필요하지 않은 ‘무차별 복지’에 해당한다”고 비판했다. 이어 “농어촌, 도농복합, 그리고 인구소멸 지역 등 전국화가 가능한 최적의 디딤돌소득 모델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기본소득을 공격하면서, ‘오세훈표’ 디딤돌소득을 전국화하겠다고 공언한 것이다.

오 시장은 이날 서울시청에서 개최된 ‘디딤돌소득 정합성 연구 결과 발표’에서 “기본소득을 연 100만원씩, 즉 월 8만3000원씩 전 국민에게 지급하려면 연 51조원의 예산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디딤돌소득의 경우 기준 중위소득 85%를 대상으로 지급할 경우 추가 소요액이 36조6000억원, 65%를 대상으로 할 경우 13조원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디딤돌소득은 기준 중위소득 85% 이하 가구를 대상으로 기준소득과 가계소득 간 차액의 절반을 보전해 주는 제도다. 소득이 적을수록 더 많이 지원하는 ‘하후상박’형이다. 선별지원이라는 점에서 보편지원인 기본소득과 차이점이 분명하다. 현재 서울시는 시범사업으로 2076가구에 디딤돌소득을 지급하고 있다.

오 시장은 “(지금의 복지 제도는) ‘신청주의’의 한계와 까다로운 절차 탓에 사후적으로 작동할 수밖에 없는 구조를 갖고 있다”며 “빈곤해져야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빈곤해지기 전 선제적으로 지원해 회복 탄력성을 높이는 복지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오 시장은 이어 “시범사업 결과 근로소득이 증가한 가구는 31.1%였고, 탈수급한 가구는 8.6%였다”며 “(생계급여 탈수급률) 0.22%보다 약 40배 가까이 월등한 모습을 보였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디딤돌소득은 약자들의 근로 의욕을 높여 가정과 지역사회, 국가 경제까지 그 성장의 잠재력을 선순환시킨다”고 덧붙였다.

오 시장은 95개 사회복지제도 중 36개를 디딤돌소득과 통합하거나 연계하면 복지 서비스의 효율성이 높아질 것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그는 “중앙정부와 각 지자체는 매년 유사한 현금성 수단을 쏟아내고 있다”며 “기능과 목적이 유사한 현금성 급여 36개를 디딤돌소득으로 통합하면 효과는 높아지고, 재정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디딤돌소득을 전국화하기 위한 연구에 착수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이날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한국경제학회 등 5개 학회, 2개 연구기관과 협약을 체결했다. 오 시장은 “디딤돌소득 (도입을) 논의하는 곳들이 있다”며 “계속 다양한 기초 지방자치단체와 접촉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김용헌 기자 y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