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위기에 직면한 대구시와 경북도가 외국인 유학생 유치로 눈을 돌리고 있다. 외국인 유학생을 적극 유치해 지역에 머물게 하는 시스템을 정착시켜 인구위기를 돌파한다는 계획이다.
대구시는 지방소멸 위기와 학령인구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외국인 유학생 유치·양성 활성화 정책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24일 밝혔다.
시는 지역산업 여건에 맞는 맞춤형 유학생 유치 전략 수립을 위해 현장 목소리를 수렴하고 대학·산업계와 네트워크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최근 경북대, 계명대, 대구보건대, 영진전문대, 디지스트 등 12개 대학의 국제처장급 관계자와 대구경찰청, 대구상공회의소, 대구지방고용노동청, 대구지방중소벤처기업청, 대구출입국외국인사무소, 대구테크노파크 등 유관기관 관계자들을 모아 ‘외국인 유학생 유치·양성 활성화를 위한 간담회’를 열기도 했다.
시는 이 자리에서 ‘유학생 유치 활성화 정책 연구’ 결과도 공유했다. 시는 정책 수립에 앞서 외국인 유학생 현황 파악을 위해 외국인 유학생 502명, 지역기업 259곳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벌였다.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유학기간, 체류자격, 한국어 수준, 취업 시 필요한 지원, 취업 희망 지역 등에 대해 물었다. 기업에는 외국인 유학생 고용 의사 등을 질문했다. 조사 결과 외국인 유학생들이 우리나라 취업을 원하고 기업들도 이들의 고용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대학과 관계 기관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해 향후 정책에 반영할 방침이다.
정재석 대구시 대학정책국장은 “외국인 유학생 20만명 시대를 맞아 지자체별 유학생 유치경쟁이 더욱 심화될 것”이라며 “유학생 유치, 양성, 취업, 정주를 원스톱으로 지원할 수 있는 대구만의 특색 있는 유학생 지원정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경북도는 올해 초 지방소멸 위기 극복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2028년까지 외국인 유학생 3만명 유치에 나선다고 밝혔다. 도는 특히 올해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최대한 활용할 계획이다. APEC 회원국 학생 200명을 선발해 자원봉사자로 활용하고 이들이 SNS 등으로 경북의 우수한 자원을 해외에 알리도록 할 방침이다. 또 지역에서 공부하고 정착할 수 있도록 장학금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밖에도 대학들이 해외 현지에 보유하고 있는 한국어교육센터를 ‘글로벌 경북학당(가칭)’으로 활용하고 외국인 유학생 산업캠퍼스 실습인턴제 확대, 대학 내 경북학·실용 한국어 교육 등 안정적인 취업·정주를 돕는 정책들도 추진한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