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276개 새마을금고가 지난해 1조7400억원에 가까운 적자를 기록하며 역대 가장 큰 규모의 손실을 기록했다. 자산 건전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비율도 1년 전과 비교해 증가하며 건전성도 나빠졌다.
행정안전부는 21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새마을금고 2024년 영업실적(잠정)’을 발표했다. 새마을금고는 지난해 당기순손실 1조7382억원을 기록했다. 2023년만 해도 당기순이익 860억원을 냈지만 지난해 적자 전환했다. 행안부 관계자는 “손실흡수능력을 높이기 위한 대손충담금 적립 비용이 1조6000억원으로 큰 폭으로 증가해 손실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대손충당금은 금융회사가 일부 대출채권 회수가 어려울 것에 대비해 쌓아두는 회계상 준비금이다. 재무제표에서 비용으로 처리돼 당기순이익 감소로 이어진다. 새마을금고의 대손충당금은 2023년 말 5조4558억원에서 지난해 말 7조205억원으로 1조5647억원 늘었다.
자산건전성을 나타내는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비율도 악화됐다. 지난해 말 기준 전체 대출 연체율은 6.81%로 지난해(5.07%)보다 1.74%포인트 증가했다. 이는 기업대출과 가계대출 연체율이 동시에 오른 영향으로 분석된다. 부실자산 비율을 뜻하는 고정이하여신비율은 1년 사이에 3.70%포인트 상승해 9.25%를 기록했다.
지난해 말 새마을금고 총자산은 288조6000억원으로 지난해보다 1조6000억원(0.6%), 총수신은 258조4000억원으로 지난해보다 3조5000억원(1.4%) 증가했다. 총대출은 183조7000억원으로 지난해보다 4조4000억원 감소했다.
김용헌 기자 y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