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최근 마약 범죄에 연루된 캐나다인 4명의 사형을 집행했다. 서방국가 국민에 대한 중국의 사형 집행은 이례적인 일이다.
AP통신과 가디언 등에 따르면 멜라니 졸리 캐나다 외교부 장관은 19일(현지시간) “4명 모두 이중국적자로 사형 집행은 올해 초 이뤄졌다”면서 “강력히 비난한다”고 밝혔다. 이어 자신과 쥐스탱 트뤼도 총리가 이들에 대한 사면을 중국에 여러 차례 요청했다는 사실을 공개했다.
샬럿 맥레오드 외교부 대변인은 성명에서 “중국의 사형제도를 강력히 비난한다. 되돌릴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하고 인간의 존엄성에 부합하지 않는다”면서 “캐나다는 (사형 선고를 받은) 개인에 사면을 반복적으로 요구했다”고 밝혔다.
주캐나다 중국대사관은 성명을 내고 “중국 사법 당국은 법에 따라 엄격하게 사건을 처리했고 캐나다 국민의 권익을 충분히 보장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마약 범죄는 전 세계적으로 사회에 극도로 해롭다고 인정되는 심각한 범죄이고 모든 국가에서 엄중한 처벌을 받는다”며 “이들이 마약 범죄에 연루됐다는 증거는 견고하고도 충분하다”고 덧붙였다. 또 “중국의 법치와 사법주권을 존중하고 무책임한 발언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중국과 캐나다 관계는 2018년 12월 멍완저우 화웨이 부회장이 미국 요청으로 캐나다 밴쿠버에서 체포된 이후 악화했다. 중국은 전직 캐나다 외교관 마이클 코브릭과 대북 사업가 마이클 스페이버를 간첩 혐의로 구금했다. 중국산 필로폰 222㎏을 호주로 밀수하려 한 혐의로 중국에서 기소된 캐나다인 로버트 쉘렌버그는 무죄를 주장했지만, 2014년 15년형을 선고받았고 2019년에는 추가 기소돼 사형으로 상향됐다. 캐나다는 곧바로 중국에 대한 여행경보를 발령했다. 코브릭과 스페이버는 멍완저우 석방 이후 풀려났지만, 쉘렌버그는 지금도 수감 중이다.
중국은 20일부터 캐나다에 대한 추가관세도 발효했다. 중국은 지난 8일 캐나다가 지난해 10월 중국산 전기차에 100%, 철강·알루미늄에 25%의 관세를 부과한 데 대한 보복으로 캐나다산 카놀라유에 100%, 해산물·돼지고기에 대해 25%의 추가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베이징=송세영 특파원 sysoh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