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지난해 우주공간에서 5기의 인공위성을 동원해 ‘공중전(도그파이팅)’ 훈련을 한 사실이 공개됐다. 중국의 우주기술과 전투역량이 비약적으로 성장한 증거로 미국이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면 역전을 허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미 군사전문지 디펜스뉴스 등에 따르면 미 우주군 우주작전 부사령관인 마이클 게틀린 중장은 18일(현지 시각) 미국 버지니아주 알링턴에서 열린 맥앨리스 국방프로그램 콘퍼런스에 참석해 “미국의 적대국이 지난해 지구 저궤도에서 위성 5기를 동원해 공중전 훈련을 하는 모습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게틀린 중장은 이날 “상업적인 파트너가 제공한 우주상황 인식 정보를 확인한 결과 우주물체 5개가 서로 접근했다가 멀어지는 현상을 발견했다”며 “한 위성에서 다른 위성으로 궤도상 우주 작전을 수행하기 위한 전술, 기술과 절차를 연습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적대국들이 궤도 전투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우주에서 공중전 연습을 한 것”이라며 “미국의 우주 역량을 거부, 방해, 저하, 파괴하기 위한 광범위한 노력의 새로운 단계”라고 경고했다.
게틀린 중장은 5기의 위성이 어느 나라 위성인지 밝히지 않았지만, 우주군 대변인은 중국 위성이라고 확인했다. 대변인은 기자들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당시 훈련에 중국의 실험용 위성인 시옌-24C 위성 3기와 실험용 우주선 시젠-605A/B 2기가 동원됐다”고 밝혔다.
미국 콜로라도의 우주추적회사인 레오랩스는 “지상 기반 레이더 네트워크를 사용해 중국 위성들이 랑데부 및 근접기동(RPO)을 테스트하는 장면을 관찰했다”면서 “러시아 위성 3기가 근접기동하는 사례도 관찰했다”고 확인했다.
여러 대의 위성을 동기화해 움직임을 통제하는 것은 우주공간에서 상대방의 공격을 억제하거나 격파하기 위해 필수적인 기술이다. 하지만 우주공간에는 마찰과 대기가 없기 때문에 우주선 기동이 훨씬 어렵고 속도도 느리다.
중국과 러시아가 위성 2기를 이용해 저궤도에서 랑데부와 근접기동 기술을 테스트한 적은 있지만, 이번처럼 여러 기의 위성을 동시에 동원해 훈련한 모습이 포착된 건 처음이다.
게틀린 중장은 “환경이 완전히 바뀌었다. 예전에는 미국의 기술 발전으로 인해 다른 국가와 역량 차이가 컸지만, 상당히 좁아지고 있다. 우주를 바라보는 방식을 바꾸지 않으면 역전을 허용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베이징=송세영 특파원 sysoh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