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한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2총괄조정관은 2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의사 집단행동 중대본 회의’를 주재하고 “(집단 휴학은) 대학의 정상적인 학사 운영을 방해하고, 교육 여건을 악화시킨다”며 ”지속적인 수업 거부 시 학칙에 따라 엄정히 대응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이어 “수업일수에 따른 복귀 시한이 다가오고 있는 만큼, 의대생 여러분께서는 본인의 꿈과 미래, 의료 발전을 위해 합리적인 판단을 해주기를 바란다”며 “대부분의 의과대학이 개강했지만, 많은 학생이 아직 복귀하지 않고 있다. 정부는 학습 환경 개선과 지원을 지속하고 있으며, 교수진도 학생들의 빠른 복귀를 독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전국 40대 의과대학 총장모임인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는 전날 간담회를 열고 오는 21일까지 의대생들이 제출한 휴학계를 반려하기로 결정했다.
일부 대학은 결원이 발생할 경우 편입학으로 채우는 방안도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졌으나 아직 학생들의 뚜렷한 복귀 움직임은 없는 상태다.
교육부는 이달 말까지 의대생이 모두 돌아올 경우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인 3058명으로 되돌리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한편 정부는 지난 1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를 통과한 보건의료기본법 개정안이 본회의에서 의결되는 즉시 의료인력수급추계위원회를 구성해 운영할 방침이다.
이 본부장은 “정부는 대한민국 의료의 근본적인 구조 개선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의료개혁 완수는 정부의 책무이며, 의료계와 국민 모두가 변화를 체감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박선영 기자 pom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