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의대 총장 ‘집단 휴학 반려’ 합의…유급·제적도 학칙대로

입력 2025-03-19 14:29 수정 2025-03-19 14:54
전국 40개 의과대학 총장들이 긴급회의를 열고 의대생들의 집단 휴학계 반려 등 관련 지침을 논의한 19일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의 모습. 연합뉴스
전국 40개 의과대학 총장들이 의대생 휴학계를 승인하지 않고 21일까지 반려하기로 결정했다.

의대 총장 모임인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에 따르면 19일 오전 온라인 긴급회의를 열고 휴학계 처리 방안을 논의했다.

회의에서 총장들은 의대생들이 제출한 휴학계를 승인하지 않고 반려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반려 기한은 21일까지며, 유급이나 제적 등은 학칙에 따라 처리하기로 했다. 전북대와 조선대의 경우 이미 학생들이 제출한 휴학계를 반려한 상태다.

한편 일부 대학에서는 의대생들이 복귀하지 않아 제적될 경우 결원을 편입학을 통해 채우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교육부는 지난 7일 의대생들이 이달 말까지 전원 복귀하는 것을 전제로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인원을 증원 전 규모인 3058명으로 조정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학생들이 복귀하지 않을 경우 모집 인원을 5058명으로 정하고, 특례 없이 학칙대로 대응하겠다고 했다.

교육부는 전날인 18일에도 각 의대 총장들에게 공문을 보내 “형식적으로는 개인 사유에 의한 휴학 신청이나, 실질적으로는 집단적인 대규모 휴학 신청에 대해 승인하지 않도록 조치하기를 바란다”고 공지한 바 있다.

박선영 기자 pom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