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특별지자체’ 출범 눈앞서 삐걱 … 합동추진단 무산

입력 2025-03-19 14:01
새만금 특별지방자치단체 예정 로고. 뉴시스.

난항 끝에 첫발을 내딛으려던 ‘새만금 특별지방자치단체(이하 특별지자체)’가 출범을 눈앞에 두고 물거품이 됐다. 신항만 운영방식 다툼으로 인한 김제시와 군산시의 입장차가 여전히 커 다시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19일 전북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도청에서 예정됐던 ‘특별지자체 합동추진단 구성 협약식’이 김제시의 불참으로 잠정 연기됐다.

특별지자체는 30여년간 지지부진했던 새만금 사업의 속도감 있는 추진을 목적으로 하는 군산, 김제, 부안 등 3개 시·군의 기능통합이다. 행정구역의 경계를 허무는 행정통합과는 다르다.

효율적인 국가 예산 확보, 체계적인 행정관리에 따른 예산 절감 극대화 등으로 수도권, 부산·울산·경남(부울경)에 이어 새만금을 '한국경제 성장 3축'으로 올려놓겠다는 게 특별지자체의 목표다.

전북자치도 등은 이런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첫 단추로 이날 합동추진단 구성 협약식을 할 계획이었다. 협약식에는 김관영 전북자치도지사와 강임준 군산시장, 정성주 김제시장, 권익현 부안군수, 각 지역구 도의원과 시·군 의장 등이 참석하기로 돼 있었다.

새만금 신항 관할권과 수변도시 관할권 등을 두고 갈등을 빚어온 기초지자체들(군산시·김제시·부안군)이 ‘새만금지구 발전’이라는 대의 아래 어렵사리 한자리에 앉기로 합의한 것이다.

새만금 토지이용 게획도. 전북특별자치도 제공.

그러나 전날 오후 9시 넘어 김제시와 김제시의회가 돌연 전북도에 불참을 통보했다.

최근 가장 첨예한 신항만 운영방식 문제로 전북도와 김제시 사이 감정이 틀어진 것이다.

2030년 완공 예정인 신항만을 두고 군산시는 군산항과 통합 관리하는 원포트(One-Port)를, 김제시는 신규 항만으로 지정해 군산항과 분리하는 투포트(Two-Port)를 요구해 왔다.

전북도와 군산시, 김제시는 오는 26일 열릴 ‘해양수산부 중앙항만정책심의회’에 출석해 각자의 의견을 개진할 예정이었다.

전북자치도는 이 자리에서 중립적인 인사들로 구성한 자문위원회 결과를 제출할 것으로 알려졌다. 자문위 결과는 ‘원포트’ 운영방식으로 결정된 상태다.

이를 알게 된 김제시가 중립을 지켜야 하는 전북자치도가 군산시의 요구만 들어줬다며 강력하게 이의를 제기했다. 김제시는 ‘(군산항 운영 방식에 대해) 전북도는 중립을 지키라’고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협약식에 제동이 걸리자 전북도는 난감한 입장에 처했다. 시간적 여유가 없어 결국 행사를 잠정 연기했다.

도는 오는 26일 해수부 중앙항만정책심의회 이후에 협약식을 재추진할 계획이다. 하지만 김제시의 입장이 완강해 새만금 특별지자체 출범은 순탄치 않을 전망이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