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제품 25% 관세 부과와 다음달 2일로 예고된 자동차 제품 25% 관세 부과 정책이 경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18일 밝혔다.
경상남도투자경제진흥원 분석에 따르면 경남의 자동차 및 부품 산업의 특수성과 철강·알루미늄 산업의 낮은 대미 의존도로 철강 등에 대한 미국의 관세 부과가 단기적으로는 경남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
철강 및 알루미늄 산업의 경우 전국에서 경남이 차지하는 비중이 낮다. 경남의 철강 수출 비중은 전국 대비 7.5%로 25% 관세 부과시 연간 약 2560만 달러, 18만톤(-7.1%) 감소가 예상된다. 알루미늄은 전국 대비 2%에 불과해 연간 약 120만 달러, 1.4만톤(-5.6%)이 줄 것으로 점쳐진다.
자동차 산업의 경우 창원 GM 공장에서 생산되는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가 미국 시장에서 주요 소형 SUV로 자리 잡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관세율 25%가 적용되면 연간 판매량이 약 5051대(-2.5%) 감소하고 약 1억 달러의 수출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미국 시장에서 소형 SUV 수요가 높고 경남의 안정적인 생산 구조를 고려할 때 실제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미국 관세 정책이 하루가 다르게 바뀌고 한국GM의 철수사례 등을 감안해 관세 동향을 주시하고 수출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중장기적 지원방안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도는 지역 수출 중소기업이 관세 관련한 상담을 할 수 있도록 경남FTA통상진흥센터 콜센터를 운영하고, 관세대응 119(코트라 운영)를 적극 알려 현장의 어려움을 지원한다.
또 수출시장 다변화를 위한 해외마케팅 확대 지원 32억원, 수출보험료 지원 확대 9억원, 수출기업의 물류비와 해외 지사화 사업 등 6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기업 경영안정을 위해 경남도 중소기업육성자금 1조1000억원, 한국은행 지방중소기업 지원프로그램 등 1조5728억 원,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3818억 원 등 총 3조546억원의 금융지원도 한다.
김명주 경남도 경제부지사는 “미국의 관세 조치가 본격화되면 경남도도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며 “대내외 동향을 파악하고 정부에서 마련 중인 품목별 관세 대책을 면밀히 분석·연계해 수출기업의 위기를 최소화하고 경영자금 지원, 수출국 다변화 등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창원=이임태 기자 sinam@kmib.co.kr